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정부·의료계, 당장 의료현장 정상화 결단부터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140분간 면담했지만, 서로의 이견만 확인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향후 의사증원을 포함한 의료 개혁에 관해 의료계와 논의시 전공의들의 입장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다”라는 글을 올렸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길 기대했지만 면담 후 나온 양측 발표에선 생사의 전선에서 분초를 다투며 싸우는 의료 현장의 절박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만남 자체가 큰 의미가 있지만 타협의 접점은 여전히 안 보인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5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와 전공의는 이제 막 대화의 물꼬를 텄다”며 “유연하게 그러나 원칙을 지키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도 2000명으로 못 박았던 의사증원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거듭 내놨다. 지난 1일 대국민담화에서는 “의료계가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며 전공의 집단이탈 이후 처음으로 의사증원 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통령실도 증원 규모 숫자에 집착하지 않고 의료계와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전공의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뒤 이틀 만에 면담이 성사됐다. 그러나 박단 위원장은 윤대통령에게 의대 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백지화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이 맞서는 사이 의료공백으로 인한 혼란과 불안은 심화되고 있다.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과 의대 교수들의 52시간 근무 선언 이후 전국의 대형·주요 병원들이 외래 진료를 줄이며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수술 건수와 병상가동률도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다. 곳곳에서 필수 의료 서비스 제공에 차질이 생기고 병원의 경영난이 커지고 있다. 의료현장의 혼란 속에서 지난달 23일 충북 충주에서는 넘어진 전신주에 깔린 70대가 병원 3곳으로부터 이송을 거부당한 끝에 결국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 이후 상급병원 이송 거부 및 지연으로 사망한 사건은 2월 23일 대전의 80대 여성과 지난달 30일 충북 보은 3세 여아에 이어 충청권에서만 세번째다.

사태가 이러니 환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걱정이 태산이다. 병에 걸리거나 사고라도 당하면 치료도 못 받고 큰일을 겪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부도 의료계도 한발씩 더 물러서야 한다. 당장 의료현장부터 정상화하기 위한 대화와 결단에 나서야 한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 목숨부터 돌보는 게 최우선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