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PE, 해외·신기술 공략해 성장 정체기 돌파 필요"
삼일PwC, 'K-PE의 현주소' 보고서 발간
삼일PwC 제공

[헤럴드경제=심아란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해외와 신기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성장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4일 삼일PwC는 ‘K-PE(Korea Private Equity)의 현주소’ 보고서를 발간해 이같이 주장했다.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던 PEF 시장이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리인상 추세로 인해 다소 정체기를 겪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삼일PwC는 국내 PE들의 전문 인력 확보, 투자 다변화에 대한 노력을 요구하는 동시에 정부의 역할도 강조했다. 그동안 국내 시장 위주로 성장해온 PE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책이 뒷받침돼야 하며 투자자 인센티브 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삼일PwC는 “글로벌 PE 시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22%의 고성장을 기록했으며 국내 PE 시장 역시 동일한 추세로 급성장했다”면서 “현재는 다소 어려운 시기지만 중장기적으로 자본시장의 큰 흐름은 ‘공모’에서 ‘사모’로 이동하고 있고 그 중심엔 PE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PE의 해외 투자 비중은 31%이며 전체 투자금액의 43%가 제조업에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삼일PwC는 투자 지역은 물론 업종 역시 과감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국내 PE는 정보통신(15%) 등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글로벌 PE들은 최첨단 테크 관련 영역에 50% 이상을 투자하고 있어 국내 PE 역시 신기술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대준 삼일PwC 딜 부문 대표는 “과거 레버리지 효과가 PE의 주요 성공 요소였으나 지금은 운영개선을 통한 본질적 기업 가치 향상이 가장 중요한 투자 포인트”라며 “운용사(GP)는 다양한 기업 운영의 실무경험을 가진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전문성 있는 외부 자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 대표는 이어 “투자자(LP)는 보수적 관점과 관행에서 벗어나 전체 투자액 중 일정 부문은 새로운 영역에 투자함으로써 하이리스크-하이리턴을 노려보는 도전적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정부는 중장기 투자 및 신기술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법 체계를 재정비하고 세금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r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