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0년후 100세 시대 겨냥 ‘생명과학입국’ 선언 시급” [2023 한국농업 미래혁신포럼]
윤종록 前 미래부차관 주제발표
“18조弗 시장공략 위해 생명과학부 필요”
이기원 “경기 ‘수출 푸드테크플랫폼’ 필요”
주형철 “농업 재창업 가능한 패스 구축해야”
윤종록 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이 16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스마트 강소농과 경기농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주제로 열린 2023 한국농업 미래혁신포럼에 참석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수원=임세준 기자

우리나라가 1980년대 ‘정보통신(IT) 입국(立國)’을 추진한 것처럼 2020년대엔 생명과학 입국을 본격적으로 선언하고, 생명과학부를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으로부터 나왔다.

이미 전세계 국내총생산(GDP) 약 80조달러 가운데 18조달러가 생명산업에서 나오고 있고, 앞으로 인구와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판단이 근거가 됐다.

구체적으로 경기도가 ‘수출기업 맞춤형 푸드테크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농업 분야에서 창업에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복지 관점에서 농촌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인 윤종록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16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3 한국농업 미래혁신 포럼’의 첫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서 “전세계 GDP 80조달러 중 의료보건 4조달러, 제약 4조달러, 식품 10조달러 등 18조달러가 생명과학 분야에서 나오는데, 이 분야를 우리가 그동안 간과했다”며 “생명과학 입국을 빨리 선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향후 30년간 인구는 100억명으로, 평균 수명은 100세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생명과학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유엔(UN·국제연합)에서 30년 후가 되면 전세계 인구는 100억명으로 늘어난다고 예측했고, 또 평균 수명은 100세가 될 것이다”며 “그렇게 되면 지구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기 상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람이 65세가 넘어가면 18세 이하 청년과 비교해 25배의 의료 손길이 필요한데, 평균 100세까지 산다고 한다”며 “의료와 제약 그리고 식품의 혁신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인구가 늘고 수명이 연장되면 필연적으로 의약·식품 산업에 대한 수요가 늘고, 종래엔 두 산업 간 경계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식품 자체가 질병을 예방하는 약의 기능을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인구와 수명이 늘어나면 식량은 70%가 더 필요하다”며 “스마트 농업이 필요하고, 종래엔 식품이 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질병을 예방하는 약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개인 맞춤형 의약 식품이 나오고 있다”며 “이미 네덜란드에서는 토마토 종류가 수백종이 넘고, 당뇨 환자가 먹는 토마토, 망막 시신경이 약한 사람이 먹는 토마토가 따로 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생명과학은 경제의 미래이고, 다행히 우리나라는 튼튼한 정보통신기술(ICT) 기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이 도약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며 “빨리 생명과학으로 대한민국을 일으켜 세우겠다는 생명과학 입국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생명과학부 등을 정부가 만드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혁신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방안도 제시됐다. 수출기업 맞춤형 푸드테크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번째 발표자로 나선 이기원 한국푸드테크협의회 회장은 푸드테크가 바꾸는 경기농업의 미래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푸드테크란 먹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창발 기술을 의미한다”며 “경기도는 수출기업 맞춤형 푸드테크 플랫폼을 구축,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이어 “다른 지역에서 할 수 없는 것들, 다른 지역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을 우리가 제안하기 위해선 앞으로 각 나라별 수출에 필요한 맞춤형 지원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며 “먼저 경기도가 선두하고 다른 지역을 이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발표자인 주형철 경기연구원장은 경기도가 앞으로 푸드테크 등 생명과학 산업을 적극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다. 농업 관련 창업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사업에 실패하더라도 재도전 할 수 있는 사회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는 “농업 분야에서 창업을 했는데, 망하면 다시 일어설 수가 없다고 한다면 창업하기가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며 “사회 안전망을 만들어 최소한의 비용으로 농업 창업이 가능한 창업 패스를 구축해야 하고 우리가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촌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현실적인 복지 문제도 거론했다. 주 원장은 “도시와 농촌을 연계하는 포용 농업의 관점을 더 발전시켜야 한다”며 “지금 사회에서도 복지 비용이 상당하게 늘고 있는데, 이걸 농촌에 투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상생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네덜란드의 돌봄 농업의 사례를 보면 우리가 추진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