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DSR 1%포인트 상승 시 가구 소비 0.37% 둔화"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0.47% 감소
[제공=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대가 향후 가계소비를 둔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하면 전체 가구의 연간 소비가 평균 0.37% 둔화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부채가 많고 소득이 적은 취약계층의 소비는 중·고소득 가구보다 더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이 7일 발간한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 자료에 따르면 DSR 증가 시 전형적 취약계층으로 인식되는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非)자가 가구의 소비가 크게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폭(-0.37%)을 대폭 상회했다.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폭(-0.37%)을 대폭 상회했다.

고부채-중·고소득 가구는 DSR 1%포인트 상승 시 소비 감소폭이 0.46%로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양적인 차이는 없지만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인 측면에서는 소비 위축 충격이 고부채-저소득 가구에서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부채 수준은 감안하지 않고 소득 기준만을 적용할 경우에는 DSR 상승 시 저소득층보다 중·고소득층의 소비 감소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저소득 가구의 소비는 0.28% 줄어드는 데 비해,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는 0.42% 감소했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우 필수적 소비 외의 재량적 소비 비중이 낮아 추가적 소비 감축이 어려운 상황임에 반해,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 비중이 높아 소비 조정 여력이 크기 때문이다.

주택 소유별로는 부채가 많으면서도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가구(고부채-비자가)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다른 범주에 속한 가구 대비 소비 위축의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부채 수준이 높으면서 주택을 보유(고부채-자가)한 가구 중에서는 원리금 상환 부담 정도에 따라 DSR의 상승이 가져오는 소비 위축 정도가 달랐다. 원리금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가구(저부담형, DSR〈20%)는 DSR 1%포인트 상승이 가져오는 소비 감소 효과가 0.25%에 그쳤지만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은 가구(고부담형, DSR≥20%)의 경우 0.40%로 추산됐다.

또 부채 증가는 일반적 상황에서는 소비지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지만 부채소득비율(DI)이 200% 이상으로 과도한 상태에서는 오히려 소비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DI가 10%포인트 증가할 때 가계의 DI 수준이 100% 미만이거나 100~200%인 경우에는 소비가 각각 0.31%, 0.07% 증가했지만 200% 이상이면 소비가 0.31% 감소했다.

오태희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가계의 금융 부담이 가중될 경우 고부채-저소득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의 경우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정책 설계가 효과적일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 안정뿐만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