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가구 평균소득 6400만원…40·50대 4명 중 1명 ‘1억원 이상’
부동산 가격 급등에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자산 5억5천만원…9%↑

서울·세종 평균 자산 전국 1·2위…전남, 가장 적어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국내 가구 평균 자산이 2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이는 올해 초까지 이어졌던 부동산 가격 급등 영향으로 분석됐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가 나타나기 전 활황세를 보였던 서울과 세종 가구의 평균 자산이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4.7% 증가한 6414만원이었다. 가구주가 40대와 50대인 가구 네 곳 중 한 곳은 소득이 1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9.0% 늘어난 5억4772만원이었다. 자산 증가율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전년도(12.8%)에 이은 두 번째였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으로 전년 대비 10% 늘었다.

자산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4.2%)의 두 배를 웃돌면서 순자산 증가율이 자산 증가율을 앞섰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증가는 주로 집값 상승에 기인했다. 전체 자산이 9.0% 증가한 가운데 금융자산(1억2126만원)은 7.1%, 실물자산(4억2646만원)은 9.5% 각각 증가했다.

부동산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은 역대 두 번째였고, 금융자산 증가율은 세 번째였다. 다만 이는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3월 말 기준으로 조사가 이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2.1%, 실물자산이 77.9%를 차지해 실물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0.4%포인트(p) 증가했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23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9241만원), 60세 이상(5억4372만원), 30대(4억1246만원), 29세 이하(1억3498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25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6억1848만원), 기타(무직 등)(4억5167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4142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2억910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188만원)의 7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6억2471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천862만원)의 42배에 달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8억171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실물자산, 그중에서도 부동산이 6억2544만원을 차지했다. 세종 역시 서울과 더불어 부동산 자산(6억1747만원)이 6억원선을 넘으면서 전체 자산(7억9천274만원)이 2위를 차지했다. 전남(3억3152만원)이 전국에서 자산 규모가 가작 작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지역별 평균 소득은 세종이 7751만원으로 서울(7103만원)이나 경기(7123만원) 보다 많았다. 대전(6452만원)과 울산(6739만원) 역시 전국 평균(6414만원) 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