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고채·한전채 금리 하락...급한 불 껐지만 ‘언 발에 오줌’
‘50조+α’에도 자금경색 여전
단기 유동성 지원 턱없이 부족
CP금리 연일 연중최고치 경신
PF·ABCP 금리 연20% 돌파
대부업체 법정상한 수준 고금리
시장안정화 조치 연장 벌써 고개

얼어붙었던 자금 시장이 정부의 ‘50조원+α’ 유동성 공급으로 최악의 고비는 넘긴 모습이다. 6% 돌파를 목전에 뒀던 한국전력공사채 발행금리는 최근 소폭 꺾였고, 국고채 3년물 금리도 3.7%대로 다시 내려가는 등 숨통이 트였다. 하지만, 여전히 자금 시장 움직임은 제한적이다. 기업어음(CP) 금리는 연일 연중 최고치를 찍고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금리는 연 20%에 육박하고 있다. 주요 정책지원이 올 연말, 내년 초 끝나는 것을 감안하면, 대규모 유동성 지원이 일시에 종료될 경우 자금 시장 경색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

▶ ‘50조원+α’, 대책 연일 쏟아져... “멈췄던 거래는 재개”= 정부와 금융당국은 연일 ‘돈맥경화’를 풀기 위해 대규모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달 나온 정부의 50조원 이상 유동성 공급에 이어 한국은행은 적격담보대상증권에 공공기관채와 은행채를 추가하고,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 대상기관에 대해 6조원 규모의 RP매입도 이달부터 실시했다. 여기에 5대 금융지주는 올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자금지원책을 내놓았다. 금융당국은 당장 이번주부터는 PF-ABCP 매입을 가동한다. 당국은 지난 11일부터 증권사 보증 PF ABCP 매입프로그램 신청을 받고, 매입기구(SPC)가 설립됐으며 이번주부터 본격적으로 매입을 시작하겠다는 방침이다. 건설사 보증 PF ABCP 매입프로그램도 지난주부터 건설사와 접촉해 매입 수요를 타진하는 것은 물론, 상황에 따라 추가 방안도 유동적으로 내놓기로 했다.

이같은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시장에서는 최악의 상황은 넘겼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동안 자금시장 경색으로 채권 유찰이 이어졌는데 최근에는 그나마 거래가 성사되고 있어서다. 주요 금리도 소폭 꺾였다. 한전채 3년물 금리는 한때 5.825%까지 올랐다가 지난 18일 5.476%로 내려갔고, 국고채 3년물 금리도 같은 날 3.787%로 마감해 하락세를 보였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지금 당장 가시적으로 정책 효과가 보이진 않지만, 최근 금리가 높아도 채권시장에서 거래 자체가 이뤄지고 있는데다 한전채 3년물 등이 소폭 내려간 상황”이라며 “정부에서 유동성 공급을 한다는 그 시그널 자체만으로 영향은 있다고 보는데, 관건은 유동성 공급이 끊겼을 때 시장이 얼마나 상황을 버텨낼 수 있느냐”고 말했다.

▶부동산 PF ABCP 금리, 연 20% 달해...“유동성 공급 끊기면 자금경색 재시작”= 그렇다고 해서 상황을 낙관하긴 어렵다.

이달 9일 5%를 돌파한 CP금리(91일물)는 18일 5.33%로 2009년 1월 13일(5.37%)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CP의 경우, 통상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많이 발행되는데 회사채처럼 수요예측 절차가 필요 없기 때문에 기관투자자 모집 과정에서 부담이 덜하다. 최근 은행권의 대출 문턱을 넘기 쉽지 않은데다 장기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회사채 발행이 막히면서 CP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부동산 시장도 좀체 풀리지 않고 있다. 지난 14일 특수목적회사(SPC) 파인우노가 발행한 다음달 23일 만기인 ABCP는 GS건설이 신용보강을 했음에도 연 20.3~21%에 거래됐다. 대부업체 법정 상한 수준의 고금리다. 같은 날 태영건설이 신용보강한 내년 1월 만기의 ABCP 또한 연 15% 이상 금리에서야 거래가 성사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장에서는 각종 지원책에 대한 연장 목소리도 나온다. 물량 부분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고는 하나, 위에 언급된대로 CP 금리 상승세 등은 여전히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거시금융실 연구위원은 “한은의 조치가 이뤄졌지만 그 이후에도 CP금리는 여전히 오름세고 시장이 뚜렷하게 나아지고 있다는 움직임도 없다”고 설명했다.

한은 또한 추가 연장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통상 한은은 RP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흡수하는데, 이번에는 RP를 사들여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조치가 한은의 긴축 기조와 배치된다는 지적도 있지만 시장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만큼, 연장 필요성까지 언급됐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한시적 조치 기한을 우선 3개월로 정해 운용해보고, 3개월 추가 연장 필요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 안정화 조치가 이달부터 시작된 만큼 연장 여부를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시장에서 연장 기대감은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연장 여부에 대한 본격 논의는 내년 1월 통방에서 결정할 듯싶다”고 설명했다. 서정은·박자연 기자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