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설픈’ 증안펀드 시장 불안만 더 키우나
공매도 금지 이뤄져야 투입
자금준비 등에 시간 필요해
외국인 하락 베팅 기회줄수

[헤럴드경제=양대근·권제인 기자] 글로벌 긴축 한파로 환율이 급등하고 증시가 곤두박칠치면서 금융당국이 증권시장 안정펀드(증안펀드) 재가동과 공매도 금지 카드를 동시에 꺼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섣부른 자금 투입시 외국인들에게 탈출 기회를 주거나 공매도가 더 활성화 할 수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4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증안펀드 재가동 준비는 출자기관들의 이사회 등 절차 진행에 달려있지만 10월 중에 최대한 빨리 준비하려고 하고 있다”면서 “다만 재가동의 의미는 투입할 준비를 마쳤다는 것으로, 실제 자금 투입은 시장상황에 따라 별도의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증안펀드는 지난 1990년 5월 주가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증안기금을 모태로 한다. 이후 지난 2003년 카드부실 사태(4000억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5015억원),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10조7600억원) 시기에 각각 증안펀드를 조성해 증시 구원투수로 나선 바 있다.

이번 규모는 2020년 3차 증안펀드와 비슷한 10조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당시 산업은행, 5대 금융지주, 증권사 등 23개의 금융기관과 한국거래소 등 증권 유관기관이 10조7600억원 규모의 출자 약정을 체결하면서 출범한 바 있다.

다만 현재는 금융사들과 맺은 출연 약정 기한이 만료하면서 기존 3차 증안펀드의 자금은 대부분 사라졌고, 실질적인 가동도 멈춘 상태다. 그럼에도 펀드 자체는 아직 해산하지 않았고 기존의 운영 틀이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금융사와 증권유관기관 등과 자금 유치를 위해 실무 협의 및 약정 절차를 다시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증안펀드 재가동과 공매도 전면 금지 카드가 동시에 검토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공매도의 경우 정책 특성상 사전에 예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공매도 금지는 대규모 자금이 투입돼야 하는 증안펀드보다 금융당국이 상대적으로 쉽게 빼 쓸 수 있는 정책 카드로 꼽히는데다 공매도 금지가 먼저 시행되지 않으면 증안펀드 자금 투입 효과가 반감되는 측면도 있어 실행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2020년 3차 증안펀드 조성 방안 발표에 앞서 금융당국은 같은 달 한시적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다만 섣부른 증안펀드 시행이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주식을 팔아치우려는 외국인들이 증안펀드 투입 시기를 기다리고 있을 수 있고, 증안펀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증시가 더 떨어져야 하는데, 그때까지 기다리다가 오히려 역효과가 날 가능성도 배제할 있다”고 지적했다.

증안펀드가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재혁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번에는 증안펀드가 들어와도 증시 하방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면서 “예전에는 증안펀드 발동이 국지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봤는데 지금은 환율 때문에 모든 시장이 약세인 상황이고 전체적인 하방 방향성을 꺾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