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 잃고도 외양간 못 고친 2012년 5월
서울에 집중호우가 내린 8일 밤 서울 강남역 인근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이번 서울지역 집중호우로 대심도 빗물터널의 효과와 필요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2012년 서울시가 강남과 강서, 광화문 등에 만들기로 했던 대심도 빗물터널 계획을 백지화하지 않았다면, 올해 피해 상당수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나오는 이유다.

2011년 서울시는 강서·양천, 종로, 용산, 동작, 서초, 강남, 강동 등 7곳에 대심도빗물터널 대상지 선정했다. 하지만 이 중 실제 공사가 이뤄져 완성된 곳은 강서·양천 1곳으로, 이번 집중호우 기간 상습 침수지였던 이 지역을 안전하게 지켜냈다.

당시 7곳 대부분이 취소된 것은 ‘토건’이라며 대형 SOC 공사를 부정적으로 바라봤던 당시 서울시장과 시민단체 등의 시각이 작용한 결과다. 2012년 5월 열린 서울시 수방정책 3차 시민대토론회, 그리고 직후 박원순 전 시장의 기자회견은 이 같은 시각을 그대로 보여줬다.

당시 시민대토론회에 패널로 나선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최근 몇년간의 홍수피해는 대부분 홍수 설계량을 넘지 않는 수준”이라며 “기존 도시계획에 대한 반성과 개선이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규모 새 수방시설 건설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급한 건 시설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선과 수해를 대비하는 주민들의 인식 증진이 먼저”라고 덧붙였다.

당시 서울시 관계자가 “수방 문제가 국방보다 중요하다. 저지대 상습지역 45개 지역 중 7개 지역은 현행 방식으로는 해결이 안 돼 이에 국한해서 도입하려는 것”이라고 달라진 상황을 설명했지만, 결국 무용지물이 됐다.

강서구 신월동 1 곳에만 대심도 빗물터널 신설을 결정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아쉬운 상황판단이 드러났다. 당시 박 전 시장은 “대심도 설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비판과 함께 시설개선으로 충분히 폭우에 대응할 수 있다는 분석으로 이같이 논의에 대한 결정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최근 “2011년 이후 중단됐던 상습 침수지역 6개소에 대한 빗물저류배수시설(대심도 터널) 건설을 향후 10년간 1조5000억원을 집중 투자해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0년 전 7곳의 총 공사비로 추정했던 7500여 억원보다 2배 늘어난 금액이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