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실징후기업 160개… 유동성 지원에 코로나 이전 대비 감소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등 코로나19 지원 조치로 올해 부실징후기업이 감소했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채권은행이 대기업 639개, 중소기업 2734개 등 3373개 기업에 대해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160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157개에 비해 3개 늘었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7~2019년 연평균 200개에 비해서는 20% 줄었다.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로 A~D 등급별로 필요한 사후조치를 수행한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은 79개사로 지난해보다 13개가 늘었다.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은 81개사로 지난해보다 10개가 줄었다. 2017~2019년과 비교하면 C등급(62개)은 17개 늘었고, D등급(138개) 57개 줄었다.

부실징후기업 중 대기업은 3개사였으며 모두 C등급이었다. 지난해에는 4개사(C등급 2개, D등급 2개)였다.

부실징후기업 수 감소는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등 유동성 지원 조치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해당 조치에 따라 기업 자금 사정이 개선되면서 연체율은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고, 회생신청 기업이 줄어들고 있다.

또 지난해 하반기부터 업황이 개선되고 수출 증가세가 확연해져 기업 실적이 개선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수출 규모는 연간 기준 사상 최대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금속가공업이 지난해보다 4개 늘어난 21개사로 가장 많았고, 기계장비도 지난해보다 5개 늘어난 17개사, 자동차부품은 지난해보다 4개 늘어난 16개사였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1조3000억원(은행권 8000억원)으로 크지 않다"라며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124억원으로 추정되고,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하다"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 중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자구계획 수립·이행 및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워크아웃·회생절차를 신청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신속금융지원·프리워크아웃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