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수요 가파른 회복에 수출 ‘쾌조’...내수도 ‘쌍끌이’ 조짐
올 성장률 4.0% 상향 배경은
소비심리 코로나19 수준 복귀
설비투자 확대...재고축적 진행
정부 재정정책 효과도 반영돼

한국은행은 27일 올 우리 경제가 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 경제의 수출과 설비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을 반영, 지난 2월(3.0%)보다 전망치를 무려 1%포인트나 높여 잡았다. 한은이 보통 보수적으로 전망하는 특성을 감안하면 실제 올 성장률은 4% 이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한은 전망치의 ‘깜짝 상향’에는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고 있는 수출이 배후에 있다. 예상보다 빠른 백신 개발·보급과 주요국의 대규모 재정지출 등이 효과를 보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가 가파른 회복세를 보인 것이 고스란히 수출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수출액(511억9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41.1%나 급증했다. 2011년 1월(41.1%) 이후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21억3000만달러)도 29.4% 늘었다.

관세청이 잠정 집계한 이달 들어 20일까지의 수출액(311억2000만달러)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53.3% 뛰었다. 일평균 기준으로는 증가율이 59.1%에 이를 정도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체감경기(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10년래 최고 수준으로 올라와 있다.

내수도 점점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직 외부 활동에 제약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경기 회복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 누적된 가계저축, 백신접종 확대로 코로나19 상황에 적응된 소비 패턴이 이어지고 있단 분석이다. 경기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인식(소비자심리지수·CCSI) 역시 3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 경제가 더 많이 회복되면서 수출이 많이 늘면서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최근 보복소비)외부요인에 의해 억눌렸던 소비가 한꺼번에 분출되는 현상) 얘기도 많이 나오는데 품목상 여전히 힘든 곳도 있지만 대체소비 등을 통해 내수도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반도체 산업 중심의 설비투자 증가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을 비롯한 부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과 세계 교역 반등으로 수출도 9%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조복현 한밭대 교수(경제학)는 “그동안은 정부지출 증가를 통해 경제를 이끌어왔는데 이번 소비심리도 호전되고 투자도 조금씩 살나아고 있다”며 “소비나 투자의 양극화되는 모습도 보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대대적인 재정정책도 전망치 수정에 반영됐단 분석이다. 지난 2월엔 구체 규모와 지원대상 등이 확정되지 않아 4차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반영되지 않았다. 이번 전망에 이게 포함됐고 향후 자영업자 손실보당 등의 추가 정책분까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취임 4주년 연설에서 4% 성장을 사실상 올해의 정부 과제로 제시한 만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경기부양책 효과분도 감안됐을 거란 분석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 4% 성장을 위해선 남은 2~4분기에 각각 0.7~0.8%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기록해야 한다.

LG경제연구원(4.0%), 한국금융연구원(4.1%), 자본시장연구원(4.3%), JP모건(4.6%) 등 최근 올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발표한 기관들은 모두 4%대의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한은 전망대로 올 우리 경제가 성장할 경우 지난 2010년(6.8%) 이후 처음으로 4%대 성장을 기록하게 된다. 지난해 -1.0% 성장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다섯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우리나라는 올해도 주요국 대비 높은 성장률이 예상돼 일각에선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경제의 국제 위상이 강화될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일각에선 한은이 예상을 깨고 전망치를 4%로 높여잡은 것에 대해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정지작업이란 해석도 나온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시장의 과열로 금융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성장이 뒷받침돼야 금리 정상화에 대한 ‘원성’을 누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서경원·홍승희 기자

한국은행은 27일 올 우리 경제가 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 경제의 수출과 설비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을 반영, 지난 2월(3.0%)보다 전망치를 무려 1%포인트나 높여 잡았다. 한은이 보통 보수적으로 전망하는 특성을 감안하면 실제 올 성장률은 4% 이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한은 전망치의 ‘깜짝 상향’에는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고 있는 수출이 배후에 있다. 예상보다 빠른 백신 개발·보급과 주요국의 대규모 재정지출 등이 효과를 보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가 가파른 회복세를 보인 것이 고스란히 수출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수출액(511억9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41.1%나 급증했다. 2011년 1월(41.1%) 이후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21억3000만달러)도 29.4% 늘었다.

관세청이 잠정 집계한 이달 들어 20일까지의 수출액(311억2000만달러)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53.3% 뛰었다. 일평균 기준으로는 증가율이 59.1%에 이를 정도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체감경기(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10년래 최고 수준으로 올라와 있다.

내수도 점점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직 외부 활동에 제약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경기 회복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 누적된 가계저축, 백신접종 확대로 코로나19 상황에 적응된 소비 패턴이 이어지고 있단 분석이다. 경기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인식(소비자심리지수·CCSI) 역시 3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 경제가 더 많이 회복되면서 수출이 많이 늘면서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최근 보복소비)외부요인에 의해 억눌렸던 소비가 한꺼번에 분출되는 현상) 얘기도 많이 나오는데 품목상 여전히 힘든 곳도 있지만 대체소비 등을 통해 내수도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반도체 산업 중심의 설비투자 증가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을 비롯한 부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과 세계 교역 반등으로 수출도 9%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조복현 한밭대 교수(경제학)는 “그동안은 정부지출 증가를 통해 경제를 이끌어왔는데 이번 소비심리도 호전되고 투자도 조금씩 살나아고 있다”며 “소비나 투자의 양극화되는 모습도 보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대대적인 재정정책도 전망치 수정에 반영됐단 분석이다. 지난 2월엔 구체 규모와 지원대상 등이 확정되지 않아 4차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반영되지 않았다. 이번 전망에 이게 포함됐고 향후 자영업자 손실보당 등의 추가 정책분까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취임 4주년 연설에서 4% 성장을 사실상 올해의 정부 과제로 제시한 만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경기부양책 효과분도 감안됐을 거란 분석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 4% 성장을 위해선 남은 2~4분기에 각각 0.7~0.8%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기록해야 한다.

LG경제연구원(4.0%), 한국금융연구원(4.1%), 자본시장연구원(4.3%), JP모건(4.6%) 등 최근 올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발표한 기관들은 모두 4%대의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한은 전망대로 올 우리 경제가 성장할 경우 지난 2010년(6.8%) 이후 처음으로 4%대 성장을 기록하게 된다. 지난해 -1.0% 성장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다섯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우리나라는 올해도 주요국 대비 높은 성장률이 예상돼 일각에선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경제의 국제 위상이 강화될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일각에선 한은이 예상을 깨고 전망치를 4%로 높여잡은 것에 대해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정지작업이란 해석도 나온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시장의 과열로 금융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성장이 뒷받침돼야 금리 정상화에 대한 ‘원성’을 누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서경원·홍승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