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G 시대가 만든 통신시장 변화…정치도 숟가락 놓기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기지국이 없으니 당연히 안터진다. 그런데 요금은 기본이 5만원대다. 단말기 가격도 100만원이 기본인 시대가 됐다. 비싼 통신비와 단말기 가격은 이통3사가 꽉 잡고 있던 단말기 유통 시장에 ‘자급제’라는 균열을 가져왔다. 5G 시대가 만든 대한민국 통신 시장의 새 모습이다.

▶안터지는 이유 있었네=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7월 11일 준공 신고기준으로 전체 무선국 대비 실내 무선국 수는 전체의 2.9%에 불과했다. 그나마도 3563개 실내 무선국 중 1629개가 서울에 몰려 있었다.

심지어 LG유플러스는 인구 500만 부산을 비롯해 대구·광주·울산·강원·전남·경북·경남 등 8개 시도에 실내 기지국 숫자 ‘0’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울산과 경북, KT는 세종과 충북에 실내 기지국을 구축하지 못했다.

변 의원은 "서울이나 대도시 이외의 지역주민들은 현재 현저하게 차별이 있는 5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명백히 밝혀졌다"며 이통 3사의 투자를 제촉했다.

▶2만원 재난지원금 논란에도 등장한 통신비=5G의 등장은 통신비 인상으로 이어졌다. 평균 3만원을 매달 휴대폰 요금으로 내던 LTE 가입자들은 5G로 바꾸면서 최소 5만원, 많게는 10만원 이상의 요금을 내기 시작했다. 알뜰폰에서 2만~3만원 초반 가격에 무제한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LTE 대비 최소 2배에서 3배까지 실 부담 요금이 올라간 셈이다.

이통사들은 LTE 가입자 대비 5G 가입자의 평균 요금(ARPU)를 공개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요금 부담이 증가했다는 것에는 동의했다.

이 같은 5G 시대 무거워진 통신비는 정치권의 2차 재난지원금 논란에서도 등장했다. 우원식 민주당 의원은 “이번 전 국민 통신비 지급 논란에서 빠진 대목이 있다. 바로 통신 3사의 이윤과 사회적 기여”라며 “통신 3사도 착한 통신비로 코로나19 부담 경감에 동참하자”고 압박했다.

▶100만원 기본인 5G단말기, 자급제폰으로 탈출=5G시대 비싸진 통신비, 여기에 100만원이 기본이 된 5G 스마트폰은 자급제 시장을 열었다. 이통사와 단통법이 만든 짠물 지원금에 차라리 단말기를 제값 주고 사고 대신 값 싼 알뜰폰을 이용해 전체적인 통신비 부담을 낮춘 ‘스마트 소비자’들의 선택이다.

SK텔레콤과 협력사 직원이 서울에 위치한 빌딩 위에서 5G 기지국을 설치하는 모습. [연합]

조승래 민주당 의원이 과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자급제 단말기는 모두 534만9000여 대로 추정했다. 이는 2018년 12월 383만3000여 대에서 1년 반만에 151만여대, 39.5%가 증가한 것이다.

2017년 3종에 불과했던 자급제 단말기 기종은 지난해 말 26종까지 늘었다. 또 이마트, 쿠팡 등 주요 채널을 통한 자급제 단말기 판매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쿠팡에서 판매된 자급제 단말기 수는 2018년 5000여대에서 2019년 8만여대로 1600%의 폭발적 증가를 보이기도 했다.

조 의원은 “전 세계 자급제 단말기 비중이 7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12년에 단말기 자급제가 시행되고 8년이 지나서야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 비중이 10%에 인접했다”며 “단말기 자급제 정책 개선 및 확장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