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심단계 아냐…장기전 대비를”…조심스러운 ‘집단 면역’ 목소리
중앙임상위 “가을대유행” 지적
통제보단 국민면역력 향상 강조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하게 확산하고 국내 확진자 추이도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방역 전문가들이 “올 한해 장기전을 대비해야하고 ‘집단면역’(herd immunity) 형성을 유도하는 것도 해법이 될 수 있다”라는 견해를 내놓았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 위원장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 팬데믹과 중앙임상위원회의 역할’ 관련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과거 메르스때처럼 종식시키는 것은 불가능해보인다”라며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억제정책은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개학 후 환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가을에 재유행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때문에 전문가들은 ‘집단면역’이 통제일변도의 대책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이날 “코로나19는 국민 대다수가 면역력을 가져야 종식할 수 있다”라며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 수준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집단면역’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본다.

코로나19가 현재 백신이 없고, 개발까지 1년은 족히 걸린다고 봤을 때 예방접종 없이 면역력을 가지려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우리 몸에 항체가 생겨 완치되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방역을 느슨하게 하면서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집단면역은 빨리 생기겠지만,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처럼 많은 사망자 발생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초래하게되는 것은 자명하다는 지적이다.

대부분의 방역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되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순 없다”고 조언한다. 의료시스템이 붕괴되지 않도록 환자 발생 수준을 통제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가 서서히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단면역이 궁극적 해결책이라해도 이 경우 고위험군 사람들의 사망이 속출할 수 있어 이런 방역대책을 택할 순 없다”라며 “대신 모든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조금씩 나오도록 유행을 통제하는 접근이 필요하고 유행 기간은 길어지겠지만, 피해가 최소화되고 이 과정에서 백신, 치료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기석 한림대의대 호흡기내과 교수 역시 “한 지역이나 집단시설등에서 한 번에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비극은 피하도록 방역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열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