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일부, 산하단체와 ‘개성공단 마스크’ 온도차
개성공단지원재단 “1억장 생산에 한달 안걸려”
통일부 “계산상과 실제 생산 가능할지는 별개”

통일부는 코로나19 사태 속 개성공단에서 마스크를 생산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데 대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12일 대구 범어네거리역에서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출근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개성공단에서 마스크를 생산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통일부와 산하단체 사이에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통일부는 제반사정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면 사실상 통일부 산하단체인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은 한시적으로 개성공단 내 의류·봉제업체만 열어서라도 마스크와 방진복을 생산하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은 12일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개성공단 재개는 남북관계나 국제적 협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등 정치적 측면과 기반시설, 기업설비, 노동자 생산 등 기술적 측면이 있다”며 “정치적 결정을 제외하고 재개만 된다면 빠르면 2주, 한달 안이면 (마스크) 생산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공단 안에는 마스크를 만드는 공장이 한 곳, 방진복·방호복을 만드는 공장이 세 곳 있다”며 “73개 의류·봉제업체가 있는데 1회용 마스크 말고 천 마스크를 만들고 필터를 중간에 끼우면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면 마스크에 덴탈마스크용 KF80이나 KF50 필터를 끼워 사용하면 된다면서 1억장 만드는 데 한달이 걸리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다만 “정치적 이해관계, 특히 남북관계를 푸는 문제와 국제협조를 하는 문제를 가지고 많은 공격이 들어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통일부는 좀 더 조심스런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이사장의 발언에 대해 “마스크 생산 필요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자는 취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마스크 생산에 따르는 현실적 문제를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현재 마스크 생산업체 한 곳에 70여개 봉제공장을 더하고 3만5000여명의 북측 근로자가 결합됐을 때 면 마스크를 하루에 약 1000만장 생산할 수 있다는 주장인데, 계산상 가능할지 모르지만 실제 생산가능할지는 별개 문제”라며 “과거 모든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마스크만 생산한 선례가 없어 정확한 생산량 추정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일각에선 마스크 생산을 시작으로 문 닫은 개성공단의 전면적 재개까지 기대하는 데 대해서도 “솔깃한 제안이긴 하다”면서도 “취지는 공감하는데 마스크로 개성공단을 열 수 있는 여건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통일부는 현 시점에서 개성공단 재가동은 코로나19 사태 속 남북 주민 간 밀접접촉 부담, 시설점검 기간, 필터나 부직포를 비롯한 원자재 반입 등 제반사정을 고려할 때 추진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국경을 완전히 차단하고 방역에 집중하는 사정도 고려해야한다”고 했다.

통일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산하단체인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두고 엇박자를 빚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은 개성공단 행정·지원을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이사장은 북한 측 파트너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과 개성공단 실무에 대해 협의하는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한다.

김 이사장은 인터뷰에서 개성공단 마스크 생산 아이디어를 통일부에 전달했다면서 통일부가 처음에는 굉장히 좋은 아이디어라고 받았지만 정치적 판단 끝에 지금 당장은 어렵다는 입장으로 바뀌었다고 전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