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경제, 연초부터 ‘짙은 먹구름’] ‘꽉 닫힌’ 지갑…선순환 핵심고리 ‘소비’ 끊기나
심리부터 실질 지표까지 ‘흔들’
수출·투자 이어 ‘소비’까지 위태


‘민간소비’에 이상기류가 뚜렷해지고 있다. 소비만은 견조하다는 정부의 낙관적인 인식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진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증가율을 보면 지난해 상반기 내내 5%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했지만, 9월 0.5%로 증가세가 크게 위축됐다. 10월 추석 연휴로 잠시 5.1%로 반등했지만 11월 다시 1.0%로 급락했다. 서비스업생산도 9월~10월 평균(2.0%)에 비해 하락한 1.0%의 증가율에 머물렀다. 특히 민간소비와 연관이 깊은 도소매업과 숙박ㆍ음식점업이 각각 0.6%, 0.2%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비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2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1.2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지난 2017년 4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1년 3개월 동안 기준치를 상회했던 지수는 최근 3개월 사이 줄곧 100 이하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96.0까지 하락해 1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비 선행지표로 분류되는 CCSI가 100보다 밑이면 경기를 비관하는 소비자가 낙관하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뜻이다. 심리가 악화돼 지갑을 닫으면 실제 소비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낮은 고용 성장과 높은 가계부채가 소비를 위축을 부추기 있다. 지난해 연간 취업자수 증가 규모는 9만7000명에 머물러 2009년 이후 9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17년만에 가장 높았고, 고용률도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가계부채는 지난 9월 말 1514조4000억원으로 불었다. 2분기 말(1492조4000억원)보다 22조원(1.5%) 증가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6%로 낮추며 두 가지 문제를 ‘소비 감소’ 원인으로 꼽았다.

소비에 경고등이 켜졌는데도 정부는 ‘일자리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긴하나 소비는 견조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정부가 집착하고 있는 ‘소득증가→소비증가→투자확대→성장’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비는 현 상황을 반영해 뒤늦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며 “현 지표를 보고 소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계부채가 소비에 부담을 주고 있고, 고용부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또 앞으로 경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해 소비심리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성장률, 일자리 감소 등이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 하락세도 자산효과를 통해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해 소비가 비교적 혼조세를 보였지만 결국 대내외 환경이 어려운 올해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동향분석팀장은 “양질 일자리를 늘리고, 가계소득을 개선시키는 선순환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정경수 기자/kwat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