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 대통령 국정지지도 첫 데드크로스] 지역도 성별도 연령도…경제 때문에 모두가 등 돌렸다
20대 이어 30대 남성들 집단 이탈 현상
반면 여성 지지율은 되레 상승 이례적
지지율 뒷받침했던 남북관계 불만늘어



60%가 넘던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가 불과 두달 만에 부정평가에 추월당했다. 이탈한 민심에는 남녀노소 구분이 없었다. 60대 이상 연령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32%, 50대에서도 36%에 불과했다. 문 대통령의 든든한 지지층인 40대의 이탈 현상도 눈에 띈다. 전주 54%였던 지지율은 50%까지 내려왔다. 반대로 적극적으로 비토하는 부정평가자는 41%까지 늘어났다.

한국갤럽이 지난 18일부터 20일 동안 사흘간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12월 세째주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높은 53%와 63%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20대와 30대 역시 두달 전인 10월 말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이탈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월 4주차 여론조사에서만 해도 20대는 62%, 30대는 무려 70%라는 절대적인 충성층이였다.

특히 20대 남성들의 이탈은 각종 여론조사기관 뿐 아니라 정치인들도 주목하고 있는 현상이다. 이날 조사에서 20대 남성의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은 41%, 부정률은 45%를 기록했다. 긍정이 67%, 부정이 24%인 20대 여성들과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남성들의 이탈은 이제 30대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30대 남성의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은 53%로 74%라는 후한 점수를 여전히 선물한 여성들과 전혀 다른 민심을 보여줬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일자리 문제가 컸다. 거기에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 등으로 박탈감을 심화시켰다”고 강조했다.

전체적으로 지지율이 역전당한 이번 주 조사에서 20대와 30대 여성의 지지율은 오히려 전주보다 높아진 것도 특징이다. 그동안 온라인상으로만 이슈가 됐던 남녀 문제가 현실 정치를 흔들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대통령과 여당의 텃밭이던 서울, 수도권에서 이제 긍정과 부정이 대등한 수치가 된 점도 청와대에게는 뼈아픈 대목이다. 서울의 지지율은 49%, 경기와 인천은 46%로 부정 각각 47%와 비슷하거나, 역전됐다. 뿐만 아니다. 호남지역만 65%로 아직까지 견고한 모습을 보일 뿐, 부산경남과 충청, 대구경북 모두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선지 오래가 됐다. 


‘부정’ 민심 이유로는 경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 성과에 대해 ‘부정’ 평가한 응답자들의 47%는 경제와 민생 문제 해결 부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심지어 지지율 고공 행진의 근간이던 대북 관계에 대해서도 17%는 부정 평가 이유로 응답했다. 김정은의 서울 답방 같은 또 하나의 북한 이슈가 전면에 등장하더라도, 이것이 지지율 반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예측이 가능한 대목이다.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 속도는 탄핵으로 중도 퇴임한 박근혜 전 대통령 때와 비교해서도 비슷하거나 다소 빠른 모습이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10개월 즈음에 직무 긍정과 부정률이 10%포인트 이내로 좁혀졌고, 이후 횡보를 거듭하다 지방선거 이후 문창극 총리 후보 자질 논란으로 인사 문제가 부각되며 처음으로 긍정률(43%)과 부정률(48%)이 역전했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총선을 1년 반 앞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하락으로도 이어졌다. 이번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주 대비 3%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40% 아래를 밑돌고 있다. 반면 보수 성향의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의 지지율은 각각 18%와 5%로 전통적으로 야권에 많은 ‘숨은 표’를 감안하면 여당과 사실상 큰 격차가 없다는 분석이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을 총선 투표 의향을 이용해 분류하면, 더불어민주당 17%, 자유한국당 13%, 바른미래당 9%, 정의당 3%, 민주평화당 1% 순으로 나눠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박창환 정치평론가는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지지율 하락은 예견된 일”이라며 “특히 경제쪽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한 하락세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제는 국민이 무능함을 기다려주지 못하는 시점에 왔다”며 “다만 한반도 정세 변화와 선거제도 개혁에 따라 반등 요소는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결과를 발표한 한국갤럽 역시 “취임 후 직무 긍 부정률 격차가 10%포인트 이내로 감소한 것은 지난 9월 초”라며 최저임금, 일자리, 소득주도성장 논란 등이 결국 평양 3차 남북정상회담으로 긍정률 60% 선을 회복했던 9월 중순의 상황을 빠르게 다시 역전시켰다고 설명했다.

최정호ㆍ채상우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