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폼페이오, 싱가포르 회담 직후 방한…한미일 외교장관 개최
-외교부 관계자 “14일 한미 외교장관 회담 개최 유력”
-폼페이오, 북미정상회담 수행 뒤 13~14일 서울 방문
-고노 日외무상도 13~14일 서울 방문…한미일ㆍ한일 외교장관 회담 개최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세기의 담판’이라고 불릴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직후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한국 서울을 방문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할 예정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8일 “미국과 일본 측과 외교장관 회담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며 “회담이 열린다면 14일 열릴 것”이라고 했다. 앞서 헤더 나워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12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수행한 뒤 13일과 14일 서울을 방문해 한국과 일본의 고위 관리들과 만나 한미ㆍ미일 동맹관계와 공동의 우선 관심사안과 북한에 대한 공동의 접근방식에 논의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방한기간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북미정상회담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대북정책 공조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14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다. 

[사진=AP연합]

트럼프 행정부는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핵물질ㆍ핵탄두 국외반출 및 조기 사찰을 이끌어내면 보상조치로서 대북 인도적ㆍ인프라 지원을 이행해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경제원조에 미국은 재정 부담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접견한 뒤 “미국이 (대북원조)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한국이 그것을 할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중국이 도울 것이고, 일본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다.

때문에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본격적인 대북 원조에 대한 정책을 추진한다면 과거 한미일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등 다자형태로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TCOG은 한미일 3자가 대북현안을 집중 논의하는 차관보급 협의체로, 지난 1999년 4월 하와이에서 결성됐다. 당시 TCOG은 김대중 대통령이 햇볕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한미일 공조를 유지하고 3자간 대북협력 기조를 유지하는 장치 역할을 했다. 하지만 대북 강경노선의 조지 W. 부시 정권이 들어서면서 미국과 일본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조한 반면, 우리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하면서 유명무실한 협의체로 전락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한미일 및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공유하고 그 성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라며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미일과 한미가 긴밀히 공조하고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주로 논의하게 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위해 결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이 자신과의 만남에서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며 구체적인 조치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는 ‘북미 간에 비핵화를 둘러싼 인식차가 축소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yes)”라고 답하기도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를 하면 밝은 길이 있을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으로부터 ‘말’이 아니라 ‘구체적인 조치’를 원한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6·12 북미정상회담에 희망적이지만 두 눈을 크게 뜨고 갈 것”이라며 “미국은 거듭 한반도의 CVID만이 유일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결과라는 걸 밝혀왔다”고 했다. 또 “이 같은 외교적 노력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면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이 배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핵협상과 관련해)과거 정부는 엉성한 종이 한장에 사인을 하고 끝냈지만 우리는 문건을 의회에 제출해 의회도 임무를 맡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며 “그렇게 되면 향후 (협상)과정에 자금 지원은 물론 힘과 연속성이 생길 수 있고, 불가피하게 정권이 바뀌어도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의 정책이 똑같이 지속될 것이라고 안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