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설 부족·정보 깜깜…머나먼 ‘장애인 관광도시 서울’
서울硏 ‘시장 활성화’ 보고서
식사·쇼핑 등 편의공간 태부족
의무설치된 곳도 활용도 미흡
홈페이지 운영도 중구난방


서울이 장애인의 관광 도시가 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서울시가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계획’을 발표한 지 반 년이 넘었지만, 아직 사업 상당수는 활용도가 낮고 정작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정책 마련은 더디다는 주장이다.

13일 서울연구원이 내놓은 ‘장애인 관광시장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인력 확충ㆍ정보네트워크 구축 필요’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은 여전히 장애인이 관광하기 힘든 점이 많다.

반정화 연구위원은 우선 서울시내 호텔과 관광지 등 관광코스에 장애인을 위한 시설 설치가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시가 시설 마련을 권장하긴 하나 의무사항이 아닌만큼 전용 식사ㆍ쇼핑 등 편의공간이 없는 곳이 상당수라는 비판이다. 시설 설치가 의무화된 일부 시설이라 해도 이용에 미흡한 점이 많아 활용을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장애인을 위한 관광 정보도 여러 홈페이지에서 중구난방으로 제공중인데, 이를 하나로 합쳐 정보 제공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이다.

장애인 관련 전문가는 “장애인은 비장애인처럼 장기간 인터넷을 하며 정보를 찾기 쉽지 않다”며 “장애인의 신체 특성별에 맞게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홈페이지가 필요하다”고 서울연구원의 말을 거들었다. 이와 함께 관광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정보의 질도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특정 관광지 1곳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나, 주변 관광지와 연계되는 정보가 부족해 전체 동선을 짜기 힘들다는 내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은 특히 국내 전체 장애인 중 48.5%에 해당하는 지체 장애인이 관광하기 쉽지 않은 도시다.

이들은 단체 이동시 휠체어를 수용하는 ‘특장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데, 지난해 기준 시내 특장차량 소유 사업자는 2곳 뿐이다. 복지 차원으로 시가 나설 법도 하나 서울시설관리공단이 가진 특장 차량도 1대 뿐이다. 이마저도 관리비용 절감 등에 따라 늘리려고 하지 않는 실정이다. 휠체어 리프트 택시는 한 달 사용횟수 제한이 걸릴 때가 많아 장기간 관광하는 장애인에게는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반 연구위원은 이 밖에 “시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관광상품 개발 등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며 “여러 부서가 산발적으로 장애인 관광정책에 관여하다보니 사령탑이 없어 사업간 시너지도 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현재 진행하는 정책을 둘러싼 문제점도 꼬집었다.

서울연구원은 장애인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애인을 단순 복지대상이 아닌 ‘관광활동 주인’으로 여기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 비율이 약 4.8%란 점을 보면 관광시장이 작은 것이 아니다”며 “장애인의 소비력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를 보면, 무엇보다 장애인에 대한 여행ㆍ관광정보 마련이 시급하다. 장애인 관광시장 규모ㆍ성장 전망 등 더 깊은 내용을 분석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서울연구원은 장애인 전용렌터카 활성화도 제안했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카셰어링 서비스에 ‘핸드컨트롤’이 장착된 차량 보급을 늘리면 장애인 이동수단 부족문제를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장애인 관광과 복지를 아우를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장애인 관광 통합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여행후기 커뮤니티와 연계 등 방법도 활성화 방안으로 거론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