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한반도 주변 미군전력 강화…남북 동시 압박 카드?
-백악관·국무부 ‘코피전략’ 논란 수습나서
-전문가들 “선제타격 임박하진 않다” 분석속
-文정권에 한미공조균열 우려 메시지 해석도


제한적 선제공격 전략인 이른바 ‘코피 전략’(Bloody Nose)이 논란이 되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랴부랴 진압에 나섰다. 하지만 지난 1달 사이 주한미군 주둔기지 및 동북아권 내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주요 군수장비가 재정비되거나 강화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한반도 구상이 예사롭지 않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관계자는 1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에 “‘코피’라는 어구는 언론이 만들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정부의 임명동의(아그레망)까지 받은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의 주한미국대사 내정철회와 관련해 “차 석좌는 공식지명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관계자는 “차 석좌의 낙마와 관련해 미측에서 거듭 양해를 구했다”며 “보도로 인해 불거진 우려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하고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미 전문가도 “백악관이 상황관리에 나섰다”면서 “ ‘코피전략’ 논란으로 한미동맹에 균열이 생겼다는 지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코피 전략으로 불리는 제한적 대북 선제타격 전략에 대해 ‘검토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미 국방장관실 선임보좌관을 지낸 프랭크 엄 미국평화연구소(USIP) 선임연구원은 앞서 본지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코피 전략에 대한 논의는 이미 수개월 전부터 나왔던 얘기”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마지막 중 마지막 전략으로써 검토되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특별정책대표는 1일 일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 이 옵션에는 물론 군사옵션까지 포함돼있다”고 말했다. 다만 “(군사옵션이) 임박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미 국방부는 최근 한반도 주변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한미군 공군기지는 지난달 31일 하와이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소속된 신속전개 중공병 복구대(RED HOUSE) 일원이 한국으로 와 주요 장비 정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주한미공군은 정기적인 정비작업이라고 밝혔지만, 미군 소식통은 “유사시 대비능력을 높이기 위해 주요 전력의 기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최근 주한미군 사령부는 불에 타지 앟는 난연(難燃ㆍFlame Resistant) 전투복을 주한미군 전원에게 지급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난연 전투복은 미군이 2006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병을 폭발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급하기 시작했다. 이외에도 괌 기지에 주요 전폭기 3종인 B-1b 랜서와 B-2 스피릿, B-52 스트래토포트리스이 모두 전개됐다. 모두 북미 간 무력충돌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움직임이다.

이와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한미 전문가는 “단순히 북한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를 향해 보내는 압박성 메시지”라며 “최근 남북대화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한미 간 소통이 어려웠다는 지적이 여러 차례 나왔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대화를 북미대화로 연결시키겠다’는 전략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불만이 양성됐다는 지적이다. 국방부 동아시아 차관보를 지냈던 에이브러햄 덴마크 우드로 윌슨센터 동아시아 국장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무력시위나 도발의 중단을 담보해야 미국 정부도 북미대화를 심각하게 고려할 수 있다”며 “그러나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일단 연기해놓고 북한을 설득하려는 듯한 움직임은 오히려 한미 간 균열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북한을 압박한다는 한미 공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문재연 기자/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