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2박 중국] 관장님 미안해요 “진짜 중국제 맞냐”고 자꾸 물어봐서
※ '12박 중국' 기획 세번 째 기사입니다.
※ 관련 숏다큐는 기사 만큼 깊지 않지만, 취재진의 생생한 경험ㆍ인터뷰 현장을 전달합니다. 글 맨 아랫부분을 참고하세요.

[HBLab=상하이(중국) 윤현종 기자ㆍ김보희PD]

“네, 중국 기술입니다”

주리(朱麗) 관장은 이 날 ‘국내(중국) 기술’ㆍ‘중국제(산)’란 단어를 수없이 반복해야 했다. 기자가 제품이나 기기를 볼 때마다 중국 토종인지 아닌지 끊임없이 물어봤기 때문이다. 

[HBLab 원본영상]

나일론 분말을 3D프린팅 해 만든 공이 눈에 띄었다. 자세히 보면 큰 공 속 작은 공이 겹겹이다. 마트료시카를 닮았다. 사람 손을 안 거친 일체형 제품. 사진 속 공 뒤에 적힌 설명을 보다시피, 이 ‘잉크’는 화수(華曙ㆍFarsoon)사가 만들었다. 중국제다. 
[HBLab 원본영상]

티타늄합금 분말도 있었다. 주 관장은 “강도ㆍ밀도가 아주 센 3D프린팅 소재”라며 “주로 항공ㆍ의료 분야에 쓰인다”고 설명했다. “여기 전시된 프린팅 재료 중 가장 비싸다”고 귀띔한 건 덤이다. 역시 화수 사 생산품이다. 중국제다.

고기능성 플라스틱 PEEK도 있었다. 일종의 복합소재로 머리뼈 등에 부착하는 의료제품 또는 의수ㆍ의족 프린팅에 쓰인다. 중국 기술로 만든 소재다. 주 관장에게 물었다.

Q:여기 있는 재료들을 중국이 생산해낸 시점은 언제부터인가?
주리 관장 (이하 주):1980년대부터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사실에 부합한다. 중국 중앙정부 산하 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칭화(淸華)대는 1988년 고속레이저성형연구센터를 세워 3D프린팅 관련 연구 첫 발을 뗐다. 5년 뒤엔 공업용 3D프린터를 자체 개발했다.

[HBLab 원본영상]

지난 7월 24일 상하이, 한국 언론사 가운데 최초로 방문한 ‘중국3D프린팅문화박물관’은 일종의 배움터였다. 창업투자사 상하이즈후이완(上海智慧灣ㆍSmart Bay)이 세운 이 곳엔 시장규모ㆍ국가 순위 등 단순 지표로 알기 힘든 중국 3D프린팅 산업의 현재가 있었다. 이 분야를 일상 생활에 적용하는 그들의 ‘속도’를 볼 수 있었다. 

[HBLab 원본영상]

상하이 최대 방직공장이었던 곳을 그대로 활용한 이 박물관은 7월 19일 정식 개장했다. 면적 6000㎡(구 1820평)에 6층으로 구성됐다.

내부는 얼핏 소박해 뵈는 겉모습과 달랐다.

모든 전시물은 3D프린팅 제품이다. 의류ㆍ귀금속ㆍ의료제품ㆍ첨단산업 부품 등이 층별로 있다. 3D프린팅으로 복원한 유물과, 프린팅 재료도 별도 전시하고 있다. 

[HBLab 원본영상]

1층에 들어서니 화려한 결혼드레스가 시선을 끈다. 3D프린팅으로 만들었다. 감촉이 부드러웠다.

주:결혼식 드레스인데, 최신 실리콘으로 제작했고 당장 입을 수도 있다. 

[HBLab 원본영상]
정말 무엇이든 만들 수 있나. 1층엔 호기심을 더 자극한 전시물도 있었다.

주:작품명 ‘성제전기(星際傳奇)’다. 3D프린터로는 어떤 물건이든 만들 수 있다. 가능성이 넓은 우주처럼 무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SLA 방식으로 프린팅했다.

SLA(Streo Lithography Apparatus)란 액체 소재를 이용, 레이저로 출력 속도와 정밀도를 높인 3차원 출력 방식이다. 정교한 제품제작에 주로 쓰인다.

그렇다면 이 작품, 그리고 박물관에 있는 수 천 개 제품들은 어디서 만들어졌을까.

등잔 밑이 어두웠다. 바로 옆에 있었다. 

박물관 1층 연구개발센터를 소개하고 있는 주리 관장[HBLab 원본영상]
주:우리 박물관 주요 시설 또 하나는 연구개발센터다. 저 곳 3D프린터들로 박물관 내 모든 제품을 출력했다. 단순 프린팅 뿐 아니다. 전시물 초기 설계또한 여기서 완성한다.

주:전시물 1개 출력에 최장 72시간을 넘지 않았다. 빠른 편이다.

2층으로 올라갔다. 이 박물관의 ‘특장점’을 가능케 한 주역 수십 개가 취재진을 맞았다.

[HBLab 원본영상]
주:3D프린팅 기술로 만든 인물 피규어다. (기자 주 - 이 작품들은 7.27∼28 상하이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기간에 출품됐다)

주:특히 얼굴은 인물 사진을 쓰거나, 실제 얼굴을 3차원 스캐닝해서 나온 데이터로 설계해 출력했다. 몸체는 게임 캐릭터다.

Q:누구 얼굴인가?

주:우리 박물관서 일하는 (3D프린팅) 설계사와 직원들 얼굴이다.

[HBLab 원본영상]
박물관에 전시물만 있진 않았다. 학생ㆍ일반인이 3D프린팅을 교육 받고 실습할 수 있는 시설이 곳곳에 있었다.

주:(위 사진 속 프린터를 가리키며) 실습용으로 쓰는 소형 3D프린터다. 중국 브랜드다.

Q:어떤 회사 제품인가?

주:베이징에 있는 타이얼스다이(太爾時代ㆍTier Time)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 따르면 이 회사는 이미 2015년께 전 세계 10대 3D프린터 생산 기업으로 올라섰다. 나머지 9개 사는 미국(8개)ㆍ네덜란드 기업이었다.

박물관에 있는 3D프린터만 중국 토종이 아니었다. 3차원 스캐닝 제품도 중국제였다. 어디서나 쓸 수 있는 보급형이었다. 

취재진의 3D 안면스캐닝 체험장면[HBLab 원본영상]
주:이건 사람 얼굴을 스캔 할 수 있는 기기다. 한번 체험해 봐라.

주:본 시스템은 당신 얼굴을 각종 게임 캐릭터와 합성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나와서, 마음에 들면 원하는 ‘잉크(소재)’를 선택해 맞춤형 출력을 할 수 있다. 1회 제작에 보통 700위안(12만 원)가량이다.

나만의 인형만 여기서 가능할까. 내 마음대로 디자인 한 제품을 주문하면 3차원 출력으로 만들어 집까지 배송해주는 기기도 있다.

[HBLab 원본영상]
주:3D프린팅 귀금속을 디자인ㆍ주문할 수 있는 기기다. 고객들이 스스로 설계하고 배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도안이나 그림을 그려도 되고 글을 써도 된다.

바로 위 사진처럼, 시험삼아 ‘헤럴드(Herald)’를 써 봤다.

주:이어서 만들어질 제품 재질을 고를 수 있다. 백금-황금-18K 모두 정할 수 있다. 미리보기도 가능하다.

주:마음에 들면 여기 있는 QR코드로 이 제품을 스캔하고, 가격을 바로 지불하면 1주일 내 제품을 받아볼 수 있다.

원스톱 배송에 핀테크까지 결합한 3차원 출력 시스템이었다. 

[HBLab 원본영상]
박물관 바로 옆엔 카페가 하나 있었다. 3D프린팅을 주제로 한 테마카페다. 이 박물관처럼, 역시 중국 최초다. 뭔가 ‘조잡한(?)’느낌을 주는 테마카페가 아니었다. 3D프린터와 각종 3차원 출력 제작물이 카페 인테리어와 하나가 돼 있었다. 

[HBLab 원본영상]
이 곳을 방문한 손님들은 커피와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나만의 라떼아트를 만들어주는 기계다. 역시 3D프린팅 기술의 성과다. 선전(深圳)의 ‘CINO’라는 스타트업이 자체 개발한 제품이었다. 모바일 앱을 깔고,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이나 이미지를 올리면 라떼아트가 완성된다. 걸리는 시간은 20초 내외다.

방문 내내 기자의 질문에 시달렸던 주 관장과 헤어지며 마지막 질문을 던졌다. 기다렸다는 듯, 지친 기색 없이 답하는 그에게서, 자신감을 엿봤다.

“현재 선진국과 기술격차는 점점 줄고 있다. 스마트제조는 국가적 차원의 전략방향이고 목표다. 특히 최근 재료-설비-응용 등 3D프린터 관련 전문인력도 늘고 있다.
따라서 중국 3D프린팅 기술은향후 1∼2년 내에 미국 등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지어진 지 100년 됐다는 이 박물관 건물엔, 2017년 판 ‘중국몽(中國夢)’이 오롯이 담겨있었다.

☞ 관련영상:유튜브 HBLab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