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김성은 주뭄바이총영사]인도 진출, 서둘러야한다
인도 정부는 지난 7월1일부터 단일화된 상품서비스세(GST)를 전국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이전에는 29개 주마다 상이한 세목과 세율을 부과했었다. 같은 주안에서라도 시골에서 대도시로 물품이 반입될 때에는 ‘오토리오’(octroi)라는 세금이 부과됐었다.

하지만 나렌드라 모디 정부가 이전 정부가 추진하던 간접세 통합사업을 재추진하면서 결국 시행에 이르렀다. 세제개편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보면, 단순한 세제개혁을 넘어선 경제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가 이처럼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필자가 만나는 인도 공무원, 정치인, 기업가는 물론 일반 시민들까지도 인도의 미래, 특히 경제에 대해 낙관적이고 자신감에 차있다. 우리나라 발전 시대를 연상시키는 그런 분위기다. 경제 주체인 정부, 기업과 개인이 혼연일체가 되어 인도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이미 인도의 경제성장률이 2015년부터 중국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는 게 경제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한마디로 인도는 덩치만 큰 코끼리에서 이제 날렵한 사자로 변모중이다.

모디 총리는 슬로건을 통해 자신이 추진코자 하는 바를 알기 쉽게 국민들에게 제시, 결집을 도모해나가고 있다. 개혁(reform)을 입안, 이행하여 실적을 내고(perform), 종국적으로는 인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나가겠다(transform)는 3단계 비전을 제시했다. 각 경제정책마다 제조업 활성화엔 ‘메이크인 인도’(Make In India), 노동인력 양성엔 ‘스킬인도’(Skill India), 거주환경의 획기적 개선엔 ‘클린 인도’(Clean India), 인도의 강점인 IT를 더욱 강화엔 ‘디지털 인도’(Digital India)라는 슬로건도 만들었다.

인도 경제발전에 외국자본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보고, 외국인투자도 적극 유치하고 있다. 일부 국내 기업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거의 전 업종에 걸쳐 개방을 했다. 식품업 등 일부 분야의 경우 100%까지 외국인투자지분을 허용하고 있다. 과거 정부에서는 기대와 예상할 수 없었던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 게 지금 인도의 현실이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를 포함한 외국의 많은 기업들이 직접 투자는 물론 인도의 스타트업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자국정부의 경협자금을 활용하여 대형 인프라분야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이 시사하듯이 대중의존도를 줄이고, 중국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 필자의 근무 경험으로 보자면 인도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리적 근접성이나 상호 보완적인 산업구조, 문화적 유사성, 과거 식민지경험 등 여러 측면에서 우리와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해타산도 맞아떨어진다. 이미 아세안에는 우리 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터전을 잡고 있지만, 아직 인도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앞으로 인도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 진출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끝)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