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스토리] 1980년 5월 서울역, 10만 시위대의 ‘회군’ 그리고 심재철
1980년 5월 서울역 광장은 민주화를 외치는 10만여 명의 시민, 그리고 이들을 가로막은 군인과 경찰 사이에는 팽팽한 긴장이 흘렀다. 계엄령 해제를 요구하는 시민들을 향해 군이 발포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회군 또는 전진을 선택해야 하는 이들의 머리도 복잡했다.

당시 시위대 선두에 서 있던 사람 중 하나가 바로 심재철 국회부의장이다. 그는 당시 ‘회군’을 주장했다. 심 부의장은 당시 상황에 대해 “남대문까지 경찰이 있었고 또 시청 쪽에는 군 병력이 나와있었다”며 “반면 시위대는 입으로 입으로 사발통문이 돌며 모인건데, 아직도 미심쩍은 것은 이틀 전부터 군과 경찰이 교문을 지키지 않았다, 15일 서울역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10만명 넘게 모일 때까지 경찰이 아무런 제지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시민들이 전해준 첩보는 한강변 도로에는 군부대 트럭이 보이고, 또 효창운동장에는 공수부대가 있었다”며 “만약 계속해서 진군했었다면 저녁 퇴근 무렵에는 심각한 유혈사태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시위는 심재철과 신계륜, 이해찬 등 당시 학생운동회장들의 격론 끝에 밤 8시 즈음 해산하며 마무리됐다. 당시 회의에서 신계륜 등은 철야 농성을, 심재철과 유시민 등은 군부 개입의 빌미를 줄 수 있으므로 퇴각하자고 주장했다. 당시 서울대 학생처장 이수성은 이들 사이에서 내무부장관과 총리비서실장에게 전화 끝에 안전귀가 보장을 받으며 해산을 설득했다.

심 부의장은 당시 회군을 항복으로 비하하고, 또 며칠 후 광주민주화운동 유혈사태의 도화선이 됐다는 일각의 비난에 대해 “아무 논리적 근거가 없는 추측”이라며 “그 상황에서 맞붙었다면, 고지 점령을 위해 어떤 희생도 감수하는 군의 특성상 수 많은 희생이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두환 군부의 정권 장악도 막지 못하고, 시민들의 희생만 커지는 최악의 상황이 될 수 있어 당연한 선택이라는 말이다.

심 부의장은 “그때는 핸드폰도 없고, 전혀 통제가 안 되는 상황, 오직 메가폰이나 손짓이 전부인 가운데 10만명이 나왔는데 통제가 되겠나”며 “10만 학생들과 시민들을 희생시킬 수 없다고 생각해 철수하자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