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방사성 오염물질 흡착제 관련 특허출원 증가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제거를 위한 흡착제 관련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반감기가 길어서 체내에 흡수되면 인체에 해로운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는 흡착제에 관한 출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작년(2016년) 한 해 관련 기술의 출원 건수는 2010년 대비 15배에 이르러, 올해 4월 기준으로 총 61건(2010년 ∼ 2017년 4월)이 출원된 것으로 밝혀졌다.

출원된 특허는 대부분 국내 기업ㆍ기관의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 기업ㆍ기관의 출원 건수는 전체 출원 건수의 10% 수준에 불과했다.

전체 출원 건수의 21%가 한국원자력연구원, 16%가 경북대 및 안동대의 출원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진ㆍ월성 등의 지역이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연구개발 역시 활발했기 때문이란 추정이다.

방사성 원소 중에서는 세슘에 대한 흡착 기술이 전체 출원의 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슘은 반감기가 30년에 이르고, 사람의 장기와 근육에 쉽게 축적돼 불임증, 전신마비, 골수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밖에도 혼합된 방사성 원소를 흡착하는 기술이 26%, 요오드에 대한 흡착 기술이 8%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우라늄, 루테늄, 텅스텐 및 몰리브덴을 흡착하는 기술도 출원됐다.

또한, 과거에는 천연 무기 물질을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등, 세슘 흡착제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됐으나 최근에는 기존에 연구된 흡착용 물질의 성능을 개량키 위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슘과 같이 반감기가 긴 방사성 원소는 미량이라도 인체에 흡수되면 오랜 기간 체내에 잔존해 유해한 영향을 끼치므로, 극소량이라도 완벽하게 흡착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허청 반용병 정밀화학심사과장은 “정부는 지난 2011년 이후 원자력안전법 개정 등 원자력 에너지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다”며, “특허청 역시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해의 예방을 위해 매진하는 발명자들을 위해 관련 특허 동향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