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기업 연체율 급증, 금융불안으로 이어져선 안돼
대기업 연체율이 2.17%(6월말 기준,금융감독원 집계)로 급증해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은행권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이 5조5000억원에 달하는STX조선의 영향이 컸다. 이것만으로 대기업 연체율이 약 1.4%나 높아졌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것이다. 이미 진행중인 조선, 해운업 구조조정 이외에 불과 며칠 후 금융감독원의 상반기 신용위험평가 결과가 발표되면 CㆍD 등급을 받아 구조조정에 들어가야 할 기업들이 무수히 쏟아질 것이다. 새로 살생부에 포함된 기업이 30여개 달하고 조선·해운업종 뿐 아니라 전기전자 업종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 기업들은 곧 연체에 들어가고 결국은 부실채권이 된다. 이미 부실채권은 급증 추세다. 지난해부터 분기별로 대기업은 1조원 이상씩 늘어나고 있다. 대기업 부실채권 비율은 3월 말 4.07%다. 앞으로 더 늘어난다는 얘기다. 심각한 상황이다.

다행히 은행권의 대응은 차분하게 이뤄지고 있다. 부실채권에 대한 대비 여부를 알아보는 지수로 NPL커버리지비율이 있다.금융감독원은 120% 이상 유지를 권고한다. 100억원 대출금 회수 불능에 대비해 120억원 이상을 내부유보하라는 것이다. 올해 신한(175%),국민(168.1%),우리(140%) 등 주요 은행들은 금감원의 권고 수준(120%)를 훨씬 넘겨 비교적 안정권에 있다. 부실대출에 대한 방호벽을 충실히 잘 만들고 있는 셈이다. 저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 은행들의 수익이 괜찮았던 것도 주효했다.

하지만 금융안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지난해에도 은행들은 부실에 대비해 충당금을 많이 쌓았다. 30조원에 가까운 돈을 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 둔 것이다. 2000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금융당국이 건전성을 강조한 것도 한 이유였다. 그럼에도 대기업 여신은 더 빠른 속도로 부실화했다. 대기업 대출은 대부분 수백억, 수천억원의 거액이다. 그래서 부실화되면 금융시스템의 불안으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은행들이 경영 건전정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대출금 회수에 나설 경우 멀쩡하던 기업들마저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멀리 IMF 당시는 말할 것도 없고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1012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여러차례 겪은 일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최근 은행장들에게 무차별적인 대출회수 자제를 권고한 것도 이런 이유다. 은행 리스크 관리는 당연하지만 그게 또 다른 부작용으로 작용해선 안된다는 얘기다. 새겨 들어야 할 대목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