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철길 SK이노 부회장, “배터리 中 공장 등 화학ㆍ배터리 연내 합작, M&A 성사”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정철길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연내에 고부가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사업 분야에서 신규 글로벌 파트너링(Global Partnering)과 인수ㆍ합병(M&A)을 성사시키겠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정 부회장은 서울 서린동 SK이노베이션 본사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JV(조인트벤처), 인수합병 이후 기업 가치 상승에 주안점을 두고, 무모한 블라인드 슈팅(Blind Shooting)은 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유산업이 최근 산유국들의 패권 경쟁 여파로 수혜를 보고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호황’일 뿐”이라며 “장기 저성장의 뉴 노멀(New Normal) 시대에 대비해 선제적 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화학업계는 이미 대규모 M&A 등 ‘합종연횡’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화학업계 1, 2위를 달리는 다우케미컬과 듀폰이 지난해 말 합병에 합의하는 등 구조개편 바람이 거세다. 

SK이노베이션은 20일 서울 종로구 본사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향후 ‘뉴 노멀’에 대비한 생존 및 성장 전략을 공유했다. 사진은 정철길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경영 구상과 향후 전략을 발표하는 모습.

SK이노베이션 역시 주요사업분야에서 글로벌 파트너링과 적극적인 M&A에 나서고 있다.

정 부회장은 “석유사업은 동북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정유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화학사업은 중국과 고부가 제품 중심 투자로 기존 범용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 초 본사 기능을 중국 상하이로 사실상 이전한 SK종합화학은 기술 경쟁력이 있는 글로벌 강소기업 인수, 글로벌 파트너링 방식의 합작 사업 등을 적극 추진 중이다. 최고급 윤활기유 중심으로 성장해 온 윤활유 사업은 합작 또는 M&A 등을 통해 완제품 윤활유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구조를 조정하기로 했다.

또한 독립적인 석유개발 전문회사로 나아가기 위해 미국 내 셰일가스 등 비전통자원 자산 신규인수에도 나선다.

정 부회장은 “석유개발 사업은 저유가로 전 세계적인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어서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고 있다”며 “매의 눈으로 기회를 포착해 사업을 성장시킬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중국 내 배터리 제조 합작 공장 설립은 조만간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이날 정 부회장은 2017년 중국 내 1위 전기차 배터리 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 아래 중국 내 합작법인인 ‘베이징 BESK 테크놀로지’와 같은 글로벌 파트너링을 활용해 중국 중심의 성장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2차전지 분리막(LiBS) 사업도 공장 증설 등을 통해 현재 글로벌 2위인 시장 점유율을 1위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 부회장은 “현재 중국에 배터리 제조 합작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조만간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이 경쟁사 대비 후발주자가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그는 “전기차 배터리는 마라톤 구간으로 치지만 이제 1Km에 진입한 것으로 우리가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분명한 의지와 전략, 목표를 가지고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 부회장은 SK이노베이션을 2018년까지 기업가치 30조원 이상의 글로벌 일류 에너지ㆍ화학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거듭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은 37년만에 적자를 기록했던 2014년의 부진을 털고 지난해 2011년 이후 최대치인 영업이익 1조9795억원을 거둔 바 있다.

정 부회장은 “그동안 뼈를 깎는 수익구조, 재무구조 혁신을 통해 ‘기초체력’을 확보했다”며 “이제 사업구조를 혁신하고 기업가치를 키워 글로벌 일류기업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실적개선과 더불어 원가절감, 비핵심자산 매각 등의 노력을 통해 2014년 7.8조에 달했던 순차입금 규모가 지난해 말 3.5조원대로 줄었고, 부채비율은 2014년 119%에서 지난해 84%로 크게 낮아졌다.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이 부여하는 신용등급도 이전 수준을 모두 회복했다.

정 부회장은 이날 사업구조 혁신의 성공을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Hard Power) 변화와 함께 스피드ㆍ유연성 제고 등 조직문화(Soft Power) 혁신도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클 때는 시장 변화를 빠르게 읽고, 판단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차별화의 포인트”라며 “어떤 ICT회사보다 빠르게 대응하고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부회장은 “진정한 글로벌 일류 기업은 사업ㆍ재무ㆍ수익ㆍ지배구조 뿐만 아니라 사람ㆍ역량ㆍ기술, 조직ㆍ문화ㆍ프로세스 등 모든 영역에서 일류여야 한다”며 “전방위적인 구조 혁신을 위해 CEO부터 앞장서 뛰겠다”고 말했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