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경련, “고비용 유발 정책이 수출절벽 불러”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별 기업의 원가절감 노력 외에도 정부가 가용 가능한 모든 정책지원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지난 3월 우리나라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15개월 연속 감소해 월간 수출통계를 집계한 1970년 이후 최장기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은 특히 기업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각종 부담금에 대한 구조조정과 수출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지원 확대가 우선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최근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규제준수 비용의 가파른 증가가 수출기업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작년부터 배출권거래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물질 관리법을 시행한데 이어 올해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을 시행했다. 내년부터는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및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이 추가로 시행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 중국, 일본 등 경쟁국이 도입하지 않은 국가단위의 배출권거래제를 선제적으로 시행하면서 산업계에 배출권을 과소 할당해 제1차 계획기간(2015∼2017년)에 최소 약 4조2000억원에서 최대 약 12조 7000억원의 추가부담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전경련은 “과도한 규제준수 비용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저하를 감안해 배출권 추가할당 또는 재할당 등을 통해 규제수준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또 “비효율적인 법정부담금 완화를 통해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14년 법정부담금 징수액은 17조 2000억원으로 2010년 14조 5000억원 대비 18.8%나 증가했다. 기업의 수익성이 저하되고 있는 가운데 준조세 성격의 법정부담금 징수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투자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법정부담금을 통해 조성된 기금은 효율적인 운용이 요구되지만, 일부 기금에서 사업용도로 활용되지 않는 여유자금이 과다해 기회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전경련은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그 동안 국회나 기획재정부 기금존치평가 등을 통해 여유자금 규모가 과다한 것으로 지적받았던 기금에 대해 부담금 요율 인하를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유자금 규모가 과다하다고 지적받던 임금채권보장기금이 올해 1월부터 사업주 부담금 납부비율을 보수총액의 0.08%에서 0.06%로 인하해 연간 약 956억원의 부담금을 경감시킨 것처럼 정부는 여유자금 규모가 과다한 다른 부담금에 대해서도 군살을 빼 국민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주요국들이 전기요금 인하를 통해 기업의 원가절감을 돕고 있는 추세를 고려해 우리도 최근 원료가격 하락을 반영한 전기요금 체계개편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미국은 2015년 산업용 전력 판매단가를 전년 대비 3% 인하했다. 2015년 미국의 산업용 전력 판매단가는 한국의 약 73%(평균 환율 1131.52원 적용) 수준이다. 대만은 산업용을 포함한 평균 전력 판매단가를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각각 7.34%, 2.33% 인하한데 이어, 올해도 4월부터 9.56% 추가로 인하했다. 4월 인하폭은 대만전력 창립 이래 70년간 최대 폭이다. 대만전력은 이로 인해 산업계에 사업체당 월 평균 40만 대만 달러(한화 약 1400만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역시 산업용 전력 판매단가를 올해 1월부터 1kWh당 0.03위안 인하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인하를 통해 산업계가 연간 680억 위안(한화 약 12조원) 정도의 원가절감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경련은 최근 우리나라의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조세지원 제도가 축소 일변도로 흐르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R&D 세액공제의 경우 공제율과 공제대상이 줄고 공제요건이 까다로워졌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부진 장기화로 국내 제조기업의 수익성 저하와 투자여력 상실이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침체된 수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기업비용 절감 및 수출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