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현장과 불통하는 문체부
“너무 바빠서….”

이 대답을 듣기까지 닷새가 걸렸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다.

최근 기자는 문체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중섭ㆍ박수근 전작도록’ 사업의 문제점을 총 세 차례에 걸쳐 제기했다. 권당 3억이 들어가는 공공기관 사업을 경쟁 입찰없이 특정 민간 컨소시엄에 맡겼다는게 의아했다. 그 과정에서 추진위원회와 연구팀이 과거 대규모 위작 소송 등에서 부실감정 논란이 있었던 인사들로 채워졌다는 건 더욱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다. 더욱이 아직 진위여부가 분분한 이중섭ㆍ박수근의 작품들을 전작도록에 어떻게 넣을 것인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기자는 이 과정에서 '2008년 박수근 빨래터 소송' 당시 감정위원단이 법원에 제출한 검증보고서에 치명적인 제작일자 오표기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들이 현재 박수근 도록 연구팀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미술계 일부에서는 날짜 오표기가 조작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상황이다.

여러 차례 성의있는 답변을 요구했으나 담당과는 책임을 떠넘긴 끝에 궁색한 말로 일관했다. “너무 바빴다”, “이제와서 계약을 취소할 순 없다”, “결과물이 나와야 판단할 수 있다” 등이 닷새만에 담당과장으로부터 들은 전부다.

정부는 사이트마다 국민과의 소통창구가 있다. 정책에 대한 의문이나 궁금증, 오류에 대한 지적과 답변을 나누는 창구다. 이는구색을 맞추기 위해 모양새로 그냥 있는 게 아니다. 국민의 세금이 잘못 쓰이거나 허투루 낭비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기능도 있다. 그리고 정부는 정책 등의 잘잘못을 지적하면 이에 대한 해명이나 설명할 의무가 있다. 이 과정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소통’이다.

그런데 이번 사안과 관련한 정부의 답변은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다. 문체부 정기인사에 따른 업무를 서로 떠넘기며 소통의 책임을 방기한 것이다. 더욱이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데는 귀를 닫고 있는 인상이 짙다. ‘위의 눈치만 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이유다.

미술계는 “문체부가 현장에 관심이나 있는지 모르겠다”며 회의적이다. 그럴 수록 박근혜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문화융성’은 멀어지는 느낌이다. 

am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