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김우영]아베의 망언에 침묵하는 외교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8일 의회에서 “위안부를 강제 연행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집권 1기였던 2007년과 달리진 게 없단 게 아베 총리의 생각이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해 12월 말 한ㆍ일 군 위안부 합의 당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부상은 “군의 관여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상처를 입혔다”고 말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총리의 시간은 거꾸로 가도 한참 거꾸로 갔다.

이로 인해 우리 국민은 또 다시 큰 상처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일본의 사과에 대한 진정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외교부는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은 역사적 사실이자 진실”이라며 합의문에 명시된 ‘최종적’, ‘불가역적’이란 문구만 되뇌이고 있을 뿐이다. 일본이 합의 이후 위안부 문제를 다시는 부인하지 못하도록 우리 정부가 요구해서 넣었다고 강조한 문구다.

정부 설명대로라면 아베 총리의 발언은 이를 훼손한 것이다. 그럼에도 “합의 이행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저해하는 언행은 삼가는 게 좋다”는 게 외교부가 내놓은 입장의 전부다. 합의 상대방이 ‘역사적 사실과 진실’을 외면한 채 시간을 거슬러 합의정신을 훼손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조치 혹은 대응이 “삼가는 것이 좋다”는 수준의 발언밖에 없는지 의구심이 든다. 가해자인 일본은 합의 이후 총리까지 왜곡된 발언을 하고 있지만 피해자인 한국은 어째서 가만히 있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합의를 “역대 어느 정부도 하지 못한 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한쪽에선 전면폐기를 주장할 만큼 이견이 크다. 영하 15도의 엄동설한에도 위안부 소녀상을 지키겠다며 밤을 새는 국민이 있다. 일본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발언은 이러한 갈등의 불쏘시개 노릇을 하고 있다. 자칫 일본을 상대로 다퉜던 위안부 문제가 우리 안에 자중지란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대일 외교의 선결조건으로 내세우며 마침내 합의에 이른 우리 정부의 노력을 깎아 내릴 순 없다. 그러나 자국민의 마음에 와닿지 않는 외교는 소용이 없다. 조속히 추가협의를 통해 위안부 합의를 구체화하고 ‘불가역적’이란 개념을 명시적으로 못밖아 일본이 책임있는 태도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