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경제硏 77개 대기업 설문]“정치권 C학점…경기회복은 2018년 이후에나 가능”
“국회활동 점수 F학점”18%나 응답
중국경기 둔화 기업경영 큰 부담
매출목표·고용·투자는 확대 할 것



19대 국회의 2015년 의정활동에 대해 기업들은 ‘C’ 이하 낙제점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기업들은 특히 지금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개혁과제로 ‘정치개혁’을 꼽았다. 아울러 국내기업들은 우리 경제에 가장 부담을 줄 위협요인으로 중국경제의 성장둔화를 지목했고, 경제회복은 2018년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2일 매출액 기준 13개 업종, 77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 투자환경 전망과 시사점’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국회 의원식당에서 12일 열린 경제상황점검TF 제10차 회의에서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와 새누리당 강석훈 경제상황점검TF단장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정치권‘C’학점=경제부문 관련 법안만으로 판단해 정치권(국회)의 활동 점수를 묻는 질문에 기업들의 35.1%는 ‘C’라는 답했고 ‘D’라는 응답이 31.1%로 뒤를 이었다. ‘F’라는 응답도 17.6%에 달했다. ‘B’라는 응답은 16.2% 였고, ‘A’라는 답변은 단 한곳도 없었다. A~F 로 구분한 활동 점수에서 ‘C’이하로 평가한 응답 비중이 전체의 83.8%를 차지한 것이다.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는 정치권에 대한 경제계의 뿌리깊은 불신을 반영한 것으로, 정치권이 각성의 계기로 삼아야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문제’를 예시한 설문에서 ‘경제문제를 정쟁에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3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경제위기 상황을 안이하게 인식한다’는 응답도 22.0%에 달했다. 이어 ‘반기업정서 팽배’ 12.9%, ‘복지 등 포퓰리즘 법안 양산’ 11.4%, ‘법인세 인상 추진 등 투자저해’ 9.8%, ‘규제강화 일변도’ 9.1% 순으로 답했다.

경기침체 및 제조업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혁해야할 부분을 묻는 질문에는 ‘정치권’이라는 응답이 44.6%로 역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정부’라고 응답한 기업이 35.1%로 뒤를 이었고, ‘노동계’ 16.2%, ‘사회시민단체’ 1.4%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기 둔화우려, 경기회복은 2018년 이후=국내 기업들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에 가장 부담을 줄 위협 요인으로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23.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가계부채 증가’(21.7%)를 지목했고, ‘소비부진’(17.5%), ‘투자 위축’(14.7%),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8.4%) 순으로 답변이 많았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 기업들이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59.2%에 달했지만 ‘작년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38.2%를 차지했다. ‘작년보다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한국 경제의 회복 시점에 대해 ‘2018년 이후 회복’이라고 답한 기업이 43.4%로 가장 많았다.

‘2017년 상반기’(22.4%), ‘2017년 하반기’(19.7%)가 뒤를 이었다. ’올해 상반기’, ‘올해 하반기’라고 응답한 기업은 각각 1.3%, 13.2%에 그쳤다. 국내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데 대체로 2~3년 이상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한국 경제가 일본식 장기불황에 접어들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94.4%가 ‘일정 부분(73.6%)’ 또는 ‘상당히’(20.8%) 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놨다.

한편 기업들은 저유가가 지속될 경우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유가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산유국 및 신흥국 경기침체에 따른 매출감소’라고 응답한 기업이 전체의 35.6%를 차지했다. 19.2%는 ‘수출 단가하락 및 이익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27.4%를 차지했다. ‘저유가로 인한 이익증대’를 예상한 기업은 16.4%에 그쳤다.

▶“매출과 고용, 투자는 확대”=다만, 이같은 불안심리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고용, 투자 목표를 줄인 기업보다 늘려잡은 기업이 많았다.

전체의 43.5%는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1~10% 상향하겠다’고 했고, 8.7%는 ‘11~19% 상향하겠다’고 답했다. ‘매출 목표를 축소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26.0%에 그쳤다. 고용에 있어서도 전체의 81.8%가 ‘올해보다 고용을 늘릴 것’이라고 했다. 투자계획에 대해서도 42%가 ‘전년도와 동일하다’고 밝힌 가운데 34.8%는 ‘1~10% 확대하겠다’, 4.3%는 ‘11~19% 확대하겠다’고 답변했다. ‘20% 이상 확대하겠다’는 답도 10.1%로 나타났다.

반면 투자를 축소하겠다고 밝힌 기업은 8.6%에 불과했다.

임희정 연구위원은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려는 의욕이 강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본다”며 “보다 과감히 규제를 완화하고,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조치를 통해 기업들의 투자를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재섭 기자/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