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철강업계 비명…정부ㆍ국회 듣고있나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새해 들어 만난 철강업계 관계자들 입에서는 “2015년이 빨리 지나가기만을 기다렸다”는 말이 한목소리로 나왔다.

지난해 철강업계는 말 그대로 최악의 한해를 보냈다.

중국의 저가제품 공세에 시달렸고, 국내외 가릴 것 없는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철강제품 수요 급감에 시름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지난해 연말 들려온 미국의 금리인상 소식은 신흥국 경기 둔화와 중국 위안화 절하에 따른 가격경쟁력 악화라는 또다른 폭탄까지 맞닥뜨리게됐다.

이런 국내외발 겹악재 속에 철강업체들은 적자생존의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부실 계열사를 정리하고 수조원이 들어간 고로를 멈춰세우는가 하면 공장을 아예 폐쇄하는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에 나섰다. 심지어는 창업주가 남긴 사옥을 매각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을 썼다.

그와 더불어 자동차용 강판 경량화 등의 신기술 개발과 함께 B2B사업인 철강의 브랜드화 등 활로 모색에도 구슬땀을 흘렸다.

이처럼 철강업계가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치는 반면, 정부당국과 정치권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먼 산 바라보듯 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내놓은 기업 구조조정 가이드라인에서 철강 등 취약업종의 구조조정은 시장 자율에 맡긴다고 했다. 특히 금융권을 동원해 ‘좀비기업’ 퇴출에 강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 이는 글로벌 철강시장의 동반 부진이라는 업계 시황을 무시한 기계적 구조조정이라는 게 업계의 목소리다.

국회에도 불만은 차고 넘친다. 

[사진=게티이미지]

신속한 구조조정과 사업재편을 위한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이른바 ‘원샷법’이 넉달남은 19대 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희박해졌기 때문이다.

구조조정의 법적 지원을 애타게 기다렸던 철강업계로서는 또 기약없는 기다림에 들어갈 판이다.

내구성 등 제품기준에 못미치는 중국산 제품수입 규제와 수출 쿼터제를 비웃는 중국 철강사들의 우회 수출에 대한 정부 감시ㆍ규제가 강화돼야 한다는 것도 업계의 바람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있고, 정부가 나서줘야 할 일이 따로 있다”고 했다.

철강산업은 단순한 산업 분야 중 하나가 아니다. 산업의 ‘쌀’을 만들어내는 국가기간사업이다. 이전 정권들이 식량주권과 농가보호를 위해 쌀 시장 개방에 심사숙고했던 것처럼 철강산업에도 그만큼의 고민이 필요하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