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더스카페]‘경제교(經濟敎)’를 비판한다
[헤럴드경제=김필수 기자]경제논리가 최우선인 시대다. 모든 활동의 잣대가 경제논리다. 경제논리를 체계화한 경제학은 거의 신앙이자 보편적 관습의 반열에 올랐다.

저자는 ‘경제교(經濟敎)’ 수준이 된 ‘경제학’을 정면 비판한다. 경제학이 강요하는 규범이 대체로 공상적이고, 비현실적인 가정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인식에서다. 특히 경제학에 ‘과학’이라는 이름을 부여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경제과학의 논리에 의해 대다수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비참해지고, 사회적 불평등이 악화되고,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있다”면서 이럼에도 여전히 경제과학이 신봉되는 현실을 개탄한다.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 -봄날의책/질베르 리스트 지음, 최세진 옮김-

실제로 대부분의 경제학 이론은 ‘다른 외적 조건이 동일하다면(ceteris paribus, all other things being equal)’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 이 전제조건이 없다면 경제학은 극단적으로 복잡해졌거나, 아예 학문화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정치, 사회, 심리, 역사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하는 연구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제학은 ‘ceteris paribus’ 덕분에 ‘과학’이라는 타이틀을 부여 받았다. ‘현실성’을 포기한 대가로 ‘과학성’을 획득한 셈이다. 저자는 이 틈새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예컨대 경제학의 핵심범주인 ‘교환’은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며, 다양한 교환 형태를 ‘시장’이라는 하나의 형태로 압축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또 경제학의 기본전제인 ‘희소성’도 ‘인간의 무한욕구’와 짝지어 노동과 경제성장을 유발하기 위한 경제학적 장치라고 분석한다. 경제학에 대한 인류학자의 색다른 시각을 경험할 수 있다.

/pils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