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청년 실업난 열쇠 서비스업에 있다는 KDI의 충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서비스산업과 청년 일자리에 대한 토론회’에서 발표한 청년 실업난의 구조적 원인 분석은 정부와 정치권이 새겨들을 대목이 많다. 청년 일자리는 새로운 산업이 급속히 성장할 때와 ‘생성→성장→소멸’로 이어지는 기업의 역동성이 높을 때 많이 창출됐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투자가 위축되면서 신산업 성장이 저조하고 기업의 역동성 또한 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유럽 국가들보다 낮았던 청년 실업률이 지금은 훨씬 높아졌다. 지난해 25∼29세 남자 실업률은 10.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9.7%보다 높고 일본(5.6%), 미국(7.4%), 영국(7.4%)을 훌쩍 뛰어넘었다. 교육·훈련을 받지 않으면서 구직 의욕마저 없는 이 연령대 ‘니트족’ 비중은 2005년 13.7%에서 2015년 16.7%로 늘었다.

제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예전만 못하다는 것은 새삼스런 얘기가 아니다. 제조업의 고용은 1991년 516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이후 2012년 411만명으로 급감했다. ‘청년 고용절벽’도 이런 흐름에서 파생된 문제다. KDI는 그 대안으로 규제완화를 통한 서비스업 육성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은 OECD 선진국에 비해 고용 비중이 작고 금융, 의료, 사업서비스 등 지식서비스 비중이 작아 추가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다. 앞서 KDI의 청년인식조사에서 청년층 80%는 행정, 콘텐츠, 교육, 금융 등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고용 창출력이 높은 금융보험, 교육, 보건의료, 관광 등 7대 유망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비중은 2009년 27%에서 2013년 26%로 후퇴했다.

서비스산업이 청년실업난의 해법이 되려면 제조업을 세계 최강의 반열에 오를 수 있도록 한 전략과 정책을 서비스산업에도 과감하게 적용하는 혁신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제조업이 대외개방을 통해 글로벌 강자로 성장한 것처럼 서비스산업도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핵심경쟁력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외국인 환자 한 사람이 들어와서 쓰고 가는 평균 진료비가 반도체 1154개를 수출하는 것과 같다고 하지 않은가. 제조업의 오늘이 있게 한 세제, 금융, 인력, 인프라 등의 지원 정책들을 서비스산업에도 적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여야는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 운운하기 전에 3년째 국회에 발목이 잡혀있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부터 처리하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