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와이파이 위치정보 플랫폼, 소방도 9월부터 사용 시작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긴급상황에서 구조가 필요한 사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구축된 ‘와이파이(Wi-Fi)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 서비스가 긴급구조기관인 ’119소방관서‘에서 한동안 사용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나뉜 소방본부와 통신사 간 비용 정산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서 구축 1년 여만에 본격적인 활용이 이뤄졌다.

6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정호준 의원은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 안전과 긴급구조를 위해 26억의 예산을 들여 마련된 ‘위치정보 활용시스템’이 통신비용 부담 문제로 각 지역별 소방본부 및 통신사 협의에만 1년을 허비했다고 지적했다.

와이파이를 활용한 위치정보는 오차범위가 약 30~50m로 정확도가 높으며, 실외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이나 실내지역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활용 가능하지만 오차 범위가 컸던 기지국이나, 실내 및 도심 공간에서 정확성이 떨어지는 GPS의 단점을 보완하는 플랫폼이다.

방통위는 지난해 상반기 시험운용을 거쳐 11월부터 긴급구조를 위한 서비스를 개시했다. 하지만 정작 긴급구조에 나선 119 소방은 각 지역 소방본부별로 조회 건당 30원의 통신비용 과금체계를 정하고 통신사 접속ID를 발급받느라 1년간 사용하지 못했다. 지난 9월말에서야 국회의 지적을 받고 와이파이 긴급구조 시스템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는 “ 활용이 지연된 사유는 119가 각 지자체 소속의 소방본부(19개)로 구성되어 지역본부별 연동규격 개발이 복잡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통사와 119간에 협의가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비용 부담주체를 행정기관 간 떠넘기거나, 월 몇십만원 정도에 불과한 비용에 부담을 느껴 사용이 지연됐던건 아니라고 덧붙였다.

정 의원은 “통신비용 협의 때문에 1년간이나 국민의 안전과 긴급구호가 뒷전으로 밀린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사업주관을 맡고 있는 방통위와 국민안전처의 업무협조가 아쉬운 상황“이라 지적하며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