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가 집중 투자ㆍ육성할 ICT 9대 전략산업은?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9대 전략산업을 정하고 집중 투자ㆍ지원ㆍ육성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의 성과 창출을 앞당기고 ICT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해 ‘K-ICT 전략’을 수립해 25일 발표했다. ICT산업에 향후 5년간 총 9조원을 투입해 ICT산업 성장률을 8%로 높이고 2020년까지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에 따르면 미래부는 소프트웨어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정보보안, 5G(5세대 통신기술), UHD(초고화질), 스마트 디바이스, 디지털콘텐츠, 빅데이터를 9대 전략산업으로 꼽고, 국내 시장 성장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놨다.

먼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관련 수출을 지난해 53억달러에서 오는 2019년까지 100억달러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IoT 부문에서는 지자체와 협력한 대규모 실증단지 조성하기로 했다. 올해엔 126억원을 들여 헬스케어와 스마트시티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가전, 제조, 자동차, 에너지, 보건, 스포츠, 관광 등 IoT 분야 전략업종별 대규모 실증사업에는 올해 232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IoT 산업 초기 수요 시장을 창출한다는 방안이다. 또 글로벌 기업 및 대기업 등과 연계한 민-관 협의체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ㆍ벤처 등을 세계적인 전문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클라우드의 국내시장 규모는 지난해 5천억원에서 2019년까지는 2억5천억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를 2019년까지 40개 민간클라우드로 전환하고 50개 산업단지에 클라우드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공공, 민간의 클라우드 이용을 확대하고 클라우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원스톱 규제개선도 추진한다.

정보보안 분야의 시장규모는 올해 7조6조원에서 2019년 1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보보호 서비스 제값받기를 시행하고, 주요기반시설 사이버 안전 진단을 현재 292개에서 2017년 400개까지 늘려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사이버 블랙박스 등 10대 정보보호 제품을 발굴ㆍ육성한다는 방안도 내놓았다. 연구소, 대학, 벤처 등이 참여하는 ‘사이버 시큐리티 스파크’ 조성 등을 추진해 정보보안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5G 분야에서는 2020년까지 표준특허 세계 1위와 광통신부품 자립도 90% 이상 달성이 목표다. UHD 산업은 연평균 10% 성장을 통해 관련 방송산업 규모를 17조원에서 27조원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VR 글라스, 스마트 헬멧, 웨어러블 에어백, 신체이식형 웨어러블 기기, 감성 스마트기기, 초다시점 단말, 가상 3D 사이니지, 스마트 신발, 뇌졸중 진단 헤어벤드, 플렉시블 투명 단말을 10대 스마트 디바이스로 정하고 이 분야에서 글로벌 스타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2019년까지 330개까지 글로벌 스타기업을 배출한다는 목표다.

이 밖에도 디지털 콘텐츠의 산업 매출액을 올해 29조원에서 2019년까지 60조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빅데이터 분야에서는 3대 강국으로의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