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중국 감속성장 현실화…내수시장 돌파로 넘어야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7.4%로 집계됐다. 톈안먼(天安門) 사태 직후 서방국가들의 경제 제재로 성장률이 3.8%까지 떨어졌던 1990년 이후 24년 만의 최저치다. 중국 정부가 당초 제시한 성장률 7.5%에도 미달했는데 이처럼 목표치에 미달한 것은 16년만의 일이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약 30년간 연평균 10% 전후를 유지해오던 성장률이 2012년부터 급속히 둔화돼 7.4%까지 내려앉은 것이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세가 둔화된 핵심 요인은 주택 가격 하락에 따른 부동산 투자 부진이었다. 지난해 소매판매 증가율은 12.0%로 전년(13.1%)과 큰 차이가 없었다. 산업생산 증가율도 8.3%로 전년(9.7%)보다 둔화되긴 했지만 폭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 증가율은 19.8%에서 10.5%로 반토막이 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단행한 대규모 경기부양 효과가 사리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은 게 성장률을 끌어내린 요인이다.

문제는 중국의 경제 성장세 둔화가 올해도 지속될 것이라는 데 있다. 중국 정부는 오는 3월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7.0~7.3% 정도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보다 낮은 6.8%를 전망하고 있어 ‘차이나 쇼크’ 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세계 경제의 성장률은 0.5% 포인트 하락하고(JP모건), 한국 성장률은 0.14%포인트 낮아진다(한국은행)고 한다. 전체수출의 26%를 중국으로 내보내는 한국으로서는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화학 철강 조선 등은 직접적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설상가상으로 IMF는 올해 세계성장률 전망치를 석달 전 발표 때 보다 0.3%포인트 낮은 3.5%로 하향 조정했다. ‘나홀로 성장’ 중인 미국를 빼면 중국ㆍ유럽ㆍ일본ㆍ신흥국 경제가 모두 부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대외경제 여건이 우호적이지 못한 상황에서 수출에만 의존하다보니 한국경제는 최근 수년간 저성장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정부가 새해 중점과제로 내세운 내수ㆍ수출 균형경제는 중국 시장에서도 적용돼야 한다. 중간재를 수출하는 가공무역이 한계에 봉착하고 있고 중국을 생산기지화하는 전략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한ㆍ중 FTA 타결을 인구 13억의 광활한 내수시장을 얻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중국 화장품시장 진입에 성공한 아모레퍼시픽 같은 사례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