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첫 보조금 공시 보니…이통3사 방통위 상한액도 못 채웠다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구매 부담이 크게 늘어났다.

1일부터 시행된 단말기유통법 시행에 맞춰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주요 단말기별로 보조금을 공시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상당수 스마트폰에 붙는 보조금은 적게는 8만원부터 많게는 28만원에 불과했다. 그나마도 월 7만원 이상, 24개월 동안 통신요금을 납부했을 때 받을 수 있었다. 월 평균 3만5000원 정도를 통신비로 납부하는 상당수 고객들은 10만원의 보조금 혜택도 받기 힘들었다.

통신 3사의 보조금은 정부가 정한 상한선 30만원에 크게 못미쳤다. 갤럭시노트4의 경우 SK텔레콤이 최고 11만1000원을 지급했을 뿐, KT와 LG유플러스의 보조금은 각각 8만2000원과 8만원에 불과했다. 출고가 95만7000원을 고려하면, 2년동안 170만원이 넘는 돈을 통신사에 납부해도 제 값 다 주고 사야만 하는 셈이다.

올해 출시된 최신 기종들도 비슷한 형편이다. LG전자 G3 cat.6, 그리고 삼성전자의 갤럭시S5 광대역 LTA-A의 경우 LG유플러스가 15만원의 보조금(최고요금제 기준)을 줄 뿐이다. SK텔레콤과 KT는 각각 13만3000원과 13만6000원으로 고시했다.

이통 3사의 구매 거부로 법정관리에 들어간 팬택 제품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보조금을 지급했다. 팬택이 올해 초 출시한 베가아이언2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방통위가 정한 최고 보조금 금액에 해당하는 30만원을, KT는 25만2000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통 3사의 보조금은 상대적으로 저사양 보급형 제품에 많이 몰렸다. 올해 나온 제품이면서도 퀄컴400 AP와 1G 램을 장착해 출고가를 49만원까지 낮춘 G3비트에 LG유플러스는 23만원의 보조금을, SK텔레콤과 KT는 5000원 적은 22만5000원을 보조했다. 또 삼성전자가 51만7000원에 선보인 보급형 모델 갤럭시그랜드2에도 통신 3사 모두 동일한 금액을 책정했다.

반면 최근까지 이통 3사는 물론, MVNO 자회사까지 동원해 경쟁적으로 ‘공짜폰’으로 풀었던 LG전자 뷰3의 경우, 보조금이 크게 줄면서 체감 구매 가격은 반대로 급상승했다. 출고가 64만원인 이 제품에 붙은 이통 3사의 보조금은 KT가 16만원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11만원과 11만5000원을 제시했다.

한편 첫 보조금 공시 금액이 방통위의 가이드 30만원에 크게 못미친 수준에서 결정되면서, 소비자들의 통신비 부담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들 ‘쥐꼬리’ 보조금 상한액 조차, 한 달에 스마트폰 요금으로만 7만원이 넘게 내는 극소수 소비자에게만 해당된다. 업계에서는 최고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VIP 고객 수를 통상 전체 고객의 5~10%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

월 3만5000원 정도를 납부하는 상당수 고객들은 위 금액의 절반 정도만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나마도 2년 약정을 해야만 하고, 중도에 단말기 고장이나 분실 등으로 불가피하게 기기를 변경하거나 번호이동할 경우, 그나마도 다시 통신사에 반납해야 한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