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통합교육과정, 대학입시와 연계해야 효과
교육문제는 모두가 당사자이며 전문가다. 더구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기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갖고 충분한 논의를 거치는게 마땅하다. 실적위주의 목적성 한건주의로는 교육의 목표달성은 고사하고 혼란만 초래한다. 교육부가 발표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18학년도부터 고교에서 문·이과 계열 구분 없이 1학년 때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한국사를 공통과목으로 가르친다는게 주된 내용이다. 공통과목을 끝낸 2학년부터는 문·이과 진학 등 각자 필요에 따라 선택과목을 배우게 한다는 것이다.

100년동안이나 유지해 온 교육과정의 개편은 만시지탄 감이 없지않다. 적성조차 제대로 파악되지않은채 문과나 이과를 잘못 선택해 평생을 후회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더구나 문과생은 과학을,이과생이 사회를 공부하지 않는 현행 문·이과 칸막이식 교육으로는 창의융합형 미래형 인재 양성이 불가능하다. 융합적 사고를 위해서는 공히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교육의 일관공정체제를 외면하고 단편적인 고교 교육과정 개편에 그쳤다는에 문제가 있다. 유ㆍ초등부에서 중등, 대학 입시, 대학교육으로 이어지는 교육 철학과 교육목표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수 없는 게 교육과정이다. 각단계별로 실행계획이 나오고 교육목표가 세워지고 체크 된다. 상위단계에서 수용될 수 없다면 그것은 헛바퀴를 돌 수 밖에 없다. 고교 교육과정이 아무리 훌륭하게 만들어져도 수능과 대학선발이라는 과정에서 수용되지않으면 공염불에 불과할 뿐이다. 이번 대안이 교육현장의 목소리와 동떨어진 반쪽대책이라고 비난받는 이유다.

대학전공이 무의미한 작금의 현실을 감안하면 대학입시 및 교육이 이공계와 인문사회계를 구분해 선발하는 것은 시급히 고쳐야한다. 아울러 복잡하게 얽힌 게 교육제도인 만큼 성급하게 졸속으로 대안을 만들어서는 절대 안된다. 지난 1997년 제7차 교육과정 이후 2007년 개정부터는 한 해가 멀다하고 제도개편이 이뤄지다보니 지금 초등학교 6학년은 중3까지는 2009와 2011 교육과정으로 공부하다가 고1 때부터는 2015 교육과정으로 공부를 해야할 처지다. 교육현장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교육 당사자는 물론 수요자까지도 헛갈리는 게 현실이다. 각기 다른 시각을 하나의 정책으로 담아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하지만 좀더 장기적인 시간을 갖고 최적의 공통분모를 제도에 반영, 백년대계의 교육이 되도록 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