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시진핑 첫 방한, 북핵 · 위안화 공조 기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다음 달 초 방한해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한다. 지난 해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이후 꼭 1년 만의 답방이며 양국 정상 취임 후 벌써 다섯번째 만남이다. 특히 시 주석이 취임 후 북한에 앞서 한국을 먼저 방문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북한은 혈맹이 아니다”라는 최근 중국 외교부 언급을 봐도 한-중 두 나라 간 신뢰가 한결 두터워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이번 만남에 대한 기대 역시 크다. 두 정상은 우선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북핵 공조를 거듭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추가 핵 도발을 억제하는 취지의 공동성명서를 채택하는 의미있는 성과도 점쳐진다. 시 주석은 박 대통령과 만날 때 마다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과 ‘중국 방식’의 북한 설득을 거듭 약속해 왔다. 일본이 경제원조를 미끼로 북한과 가까워지려는 상황에서, 북한을 압박할 나라는 중국 밖에 없다. 궁극적으로는 6자 회담의 기틀을 다지는 공동제안이 나올 수도 있다.

경제적 실리도 적지 않을 듯하다. 11차까지 진행된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의 실마리가 기대된다. 양국 기업의 원활한 상호 진출과 투자확대 방안 등도 협상 테이블로 올라가길 바란다. 하나 더 주문하자면, 중국이 추진 중인 위안화 경제권에 ‘부드럽게’ 편입되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 보는 것이다. 2020년이면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가 엔화의 2배에 달해 사실상 역내 기축통화가 될 전망이다. 러시아 조차 최근 무역대금의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고 있다. 동아시아를 ‘위안화 허브’로 만들려는 중국의 큰 구상에 우리도 주도적으로 합류할 수 있는 기틀을 미리 마련하는 게 좋다.

양국 간 사회문화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도 중요하다. 탈북자 강제 송환을 막도록 외교적 채널을 십분 가동하고,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을 근절할 합의도 이끌어 내야 한다. 무엇보다 일본 아베 정부가 집단자위권 추진을 본격화하는 시점에서 양국의 적극적인 공조를 거듭 확인해야 할 것이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설립, 시안 광복군 표지석 제막식 등을 통해 공고해진 양 국 과거사 이해가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되길 희망한다.

일본 교토통신의 시진핑 방한 보도에 미국은 즉각 “한·중관계 발전은 동아시아 발전에 큰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코멘트했다. 수교 22년 째인 양국이 전략적·협력적 동반자 관계를 보다 공고히 해, 동아시아에서 실질적인 협력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바란다. 경제 규모의 차이가 크지만 경험과 비전을 공유하며 실리적 협력방안을 찾을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