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대통령 숙원 ‘DMZ평화공원’... 현실성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비무장지대(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자고 북한에 공식 제안하면서 실현 가능성 여부가 주목된다.

앞서 14일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에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합의서가 도출되면서 한달 앞으로 다가온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은 점쳐졌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DMZ 평화공원을 제안한 것은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DMZ 평화공원이 현실화된다면 냉전과 분단의 상징인 휴전선이 일부나마 허물어진다는 것으로 세계사적으로도 적잖은 의미를 지닌다. 관광 활성화를 통해 남북분단의 아픔을 널리 확산시킴으로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호적인 여론조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북한의 호응 여부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지난 2007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자리에서 DMZ에 있는 남북의 소초(GP)와 중화기를 철수하고 평화적으로 이용하자고 제안했으나 “아직은 속도가 빠르다”며 “아직은 때가 아니지 않느냐”고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분계선(MDL)을 사이에 두고 남북 각각 2㎞씩 설정된 DMZ에는 현재 남한 80~90개, 북한 150~160개의 소초가 설치돼 있다. 특히 북한은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 등 사거리 54∼60㎞로 남한의 수도권을 사정거리에 두고 있는 장사정포를 밀집시켜 놓고 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정치적·군사적으로 의미가 큰 DMZ의 비무장화에는 쉽게 동의할 수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지난 5월 방미기간 DMZ 평화공원에 대한 구상을 처음 밝혔을 때 북한이 보인 첫 반응 역시 냉담 자체였다.

북한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당시 박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 “원한의 상징에 꽃밭이나 조성하고 외국 관광객들을 끌어들여 민족이 겪고 있는 비극을 자랑거리인 듯 선전하려는 것”이라며 “민족 분열의 불행과 고통을 안고 사는 온 겨레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고 맹비난했다.

북핵문제는 가장 큰 걸림돌이다. 국제사회의 압박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핵 야욕을 버리지 않고 있는 북한이 또 4차 핵실험 등 추가 도발에 나선다면 DMZ 평화공원은 물론 모처럼 조성된 남북관계의 훈풍도 일시에 공염불이 될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이 핵을 버리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동참한다면 새로운 한반도 시대를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를 밝힌 것도 이를 염두에 둔 것이다.

다만 DMZ 평화공원과 관련해서는 북한의 긍정적 신호도 일부나마 감지된다.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장이 최근 방북했던 박상권 평화자동차 사장에게 개성공단이 잘돼야 DMZ 평화공원도 잘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북한도 DMZ 평화공원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도 CNN 설립자인 테드 터너가 지난 2005년 방북해 DMZ 평화공원 사업계획을 밝혔을 때 호의적 반응을 보인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남북관계가 얼마나 진전되고 상대에 대한 신뢰가 조성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