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서비스업 중국서 경쟁과열 조짐…생계형 창업 중국이전 현상도”
한류 붐에 편승한 국내 중소 서비스업체들의 중국 진출이 잇따르는 가운데 과당경쟁 조짐마저 보인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생계형 소자본 창업이 중국으로 이전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5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발간한 ‘한국 중소서비스업체의 중국진출 실태’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451개 국내 서비스업체 62%(280개)가 식당, 학원, 골프연습장, 병ㆍ의원, 미용실, 도소매 등 소비자서비스업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 무역, 운수/해운, 광고, 포장 등 생산자서비스업체는 38%(171개)에 불과했다.

연구원은 이 가운데 성도, 청도, 심양, 광주, 중경, 무한 등 연안지역과 내륙지역에 진출한 60개 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6월부터 2달간 설문조사와 현지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생산자서비스업의 주요 고객은 한국인이나 한국기업, 소비자서비스업의 경우는 현지 중국인이 주요 고객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고부가가치의 지식기반서비스업보다는 전통적 서비스업으로, 생계형 소액투자로 진출한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인력난과 대상 고객의 중첩으로 인한 과당경쟁으로 갈등이 유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지역의 경우 특히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한국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한국교민도 밀집해 이런 갈등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이런 갈등을 피해 상당수 중서부 내륙도시로 기업이전도 진행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인터뷰 결과 실제 중서부 도시지역의 서비스업체들의 상당수가 연안지역에서 이전해 왔다고 했다”며 “제조업은 전력난, 용수난, 인력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서비스업의 경우 인력난과 고객중복으로 마찰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구인난에 따른 지속적인 임금 상승과 함께 현지의 5대 사회보험 의무화 정책도 현지 진출업체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 설비자동화로 인력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인력에만 의존하는 서비스업종의 경우 인건비과 사회보험료 문제는 향후 지속적으로 경영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지적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북경만 해도 사회보험료가 임금의 66% 수준이나 돼 한국뿐 아니라 대부분의 외국투자기업에게도 큰 부담”이라며 “한국의 중소서비스업종은 부가가치가 높은 생산자서비스업 보다는 인력이 많이 필요로 하는 소비자서비스업종에 더 많이 진출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서비스업종 중국진출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올 초 열린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원자바오 총리는 12차 5개년계획기간(2011~2015년) 동안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산업 비중을 47%로 높이겠다며 서비스산업 육성의지를 표명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