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동성 함정ㆍ하이퍼인플레이션…G2증시 옥좬다
‘유동성 함정’과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는 섬득한 경제학 용어가 글로벌 증시 간판인 G2 증시를 옥좨고 있다. 미국은 두 차례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시원치 않다. 1년여째 긴축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은 인플레이션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오히려 임금상승 가능성이 커지면서 장기인플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유로존 붕괴,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 등 굵직한 악재들도 여전해 위험자산인 주식에 대한 투자심리는 날로 악화되는 모습이다.

뉴욕증시는 금주들어서도 1% 가까이 하락하며 6주 연속 뒷걸음이다. 일간 차트로 장기추세선인 120일 이동평균선도 무너졌다. 양적완화Ⅱ가 나오기 전인 작년 5~9월 상황과 비슷하다. 고유선 대우증권 연구원은 “재고가 출하대비 많아 생산활동이 당분간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 주택지표 부진도 이어지고 있고, 유가상승에 따른 소비부진 여파는 고용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유동성 공급에 나설 만한 상황도 아니다. 임수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시중 유동성이 부족한 건 아니다. 미국 명목 GDP대비한 기업과 가계의 현금보유 비중은 사상 최고치다. 미국 금융기관들 역시 초과지급준비금의 형태로 막대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다. FRB가 공급한 유동성 중 상당 부분이 금융기관 금고에서 잠자고 있다”고 풀이했다.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은 금리를 아무리 내려도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지 않는 상태로, 1920년대 세계대공황 때 돈을 풀었지만 경기가 살아나지 않음에 따라 경제학자 케인스가 제기한 학설이다. 가까운 장래에 이자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현금보유 성향이 강해지는 상황이다.

경기가 좋지 않을때 오히려 투자기회를 찾는 부실채권투자전략 헤지펀드사인 블루베이의 이안 버넷 운용담당수석은 “불확실성 증대로 향후 12~24개월기준 주식자산의 기대수익률은 낮다. 오히려 금융권의 차입축소 과정에서 이뤄지는 부실채권에 투자하면 미국은 연 10~15%, 유럽은 10~15%의 수익률을 기대할 만하다”고 말했다.

G2의 또다른 한 축인 중국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문제다. 지난 4월 3000선이 붕괴된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5월 데드크로스(단기추세선이 장기추세선 하향돌파)가 나타났고, 이달 들어서는 27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긴축정책을 펼친 지가 1년이 다 돼가지만, 인플레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특히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임금상승이다. 2007~2011년 중국 주요지역의 평균 최저임금 상승률은 15~20%로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을 압도한다. 게다가 양지명 중국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 부부장은 “12차5개년기간(2011년~2015년)동안 종업원 월급을 연간평균 15% 인상해 5년후에는 현재의 배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신흥국 채권과 환율에 주로 투자하는 헤지펀드인 GAM의 폴 맥나마라 매니저는 “인플레이션 전망에서는 일시적 요인으로도 움직이는 상품가격과 함께 지속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임금 등도 중요한 요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상품가격 추가강세를 예상하면서 채권과 외환의 경우 중국이나 한국보다는 중남미 국가를 신흥시장내 유망 투자처로 꼽았다.

<홍길용기자 @TrueMoneystory>/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