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속보] S&P 한국 올 경제성장 전망 상향…-1.5%→- 0.9%
2021년 4%→3.6%
“아태지역 성장 주도”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했다. 올 전망치 상향에 따른 기저효과 변경을 반영, 2021년 전망치는 4%에서 3.6%로 하향했지만, 아시아태평양 주요국 가운데 중국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24일 “아시아태평양 경제의 회복 : 고난의 시작)” 보고서에서 각 국가마다 경기 회복 속도는 다르겠지만 아시아 태평양 지역경제가 중국을 필두로 회복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무역 호조와 소비자 지출 증가를 반영해 중국, 한국, 대만, 베트남의 2020년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한편 인도, 일본, 호주, 그리고 대부분의 동남 아시아 국가들은 정상화 되기까지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S&P 글로벌 신용평가의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숀 로치(Shaun Roache)는 “코로나19가 종식된건 아니지만 경제적 여파는 최악을 지난 것으로 보인다. 각국 정부들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면 봉쇄보다는 좀 더 정교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으며, 가계 소비도 회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와의 어려운 싸움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망률은 하락하고 있으며 2021년 중반까지는 광범위하게 백신이 공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S&P의 기본 시나리오). 또한 사람들의 이동이 많아지고 지출도 증가하는 것을 볼 때 세계가 코로나19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글로벌 교역 수치도 바닥을 지났다고 판단된다.

S&P는 아태지역 경제가 2020년 2% 역성장 한 후 2021년에는 약 6.9%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코로나 확산 이전 추정치 대비 거의 5%나 낮은 수준이다(2021년 말 기준). S&P는 한국의 올해 성장 전망을 기존 -1.5%에서 -0.9%로, 2021년 전망을 기존 4.0%에서 3.6%로 각각 조정했다.

숀 로치 이코노미스트는 “이제부터 힘든 시기이다. 정부의 지원 정책이 줄어들면 실제 피해 규모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시적 세금감면, 고용 지원금, 대출 상환유예 등 각종 지원 정책들이 사라지게 되면 은행, 기업, 가계들은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채무상환 유예기간 동안 그럭저럭 버티던 사업체들은 폐업을 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은행들은 부실 가능성이 높은 대출에 대해 채무조정 혹은 담보권 행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경제활동이 재개되면 경제적 피해 상황은 더 확연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S&P는 고용률이 경기 회복의 강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판단한다. 대부분 국가의 경우 2022년은 되어야 코로나 이전 고용률을 회복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역내 임금, 민간 소비, 물가상승률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재정정책과 자금조달 여건의 긴축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국 중앙은행들은 이례적으로 완화된 통화정책을 유지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무역과 제조업 부문이 아태지역 경제성장을 일부 견인하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지속가능한 경기회복을 위해선 서비스 산업이 살아나야 한다. 국제노동기구의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아태지역 내 16억 3,000만 여명의 근로자 중 17%인 약 2억 7,000만 명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상당히 많은 수이지만 10년 전에 비해 700만 명 밖에 늘어나지 않았다. 한편 역내 전체 근로자의 약 18%인 3억 명이 호텔, 음식료, 관광 등 환대산업 및 소매 부문에 속해 있는데 해당 산업 종사자는 지난 10년 동안 6,000만 명이 증가했다. 기타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약 4억 4,000만 명이 넘는다. 서비스 산업이 정상화되지 않으면 아태지역이 다시 완전고용을 달성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미중관계를 둘러싼 전략적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장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도 구체화 되고 있다. 중국이 새롭게 발표한 ‘이중 순환(dual circulation)’ 정책은 소프트웨어, 반도체, 에너지, 농업 등 글로벌 공급망 관련 리스크가 높은 산업의 내수 의존도를 더욱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S&P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이 내수 의존도를 높일 경우 2030년까지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S&P의 기본 시나리오인 4.6% 보다 낮은 3.5% 수준으로 추정된다.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