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읽기] ‘사회적 거리두기’와 ‘심리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리는 멀어져도 마음의 거리는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어느 대기업의 광고문구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실상 바이러스의 추적 격리 단계를 지나 지역감염으로 확산되면서 환자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여기저기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를 응용한 광고문구까지 등장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社會的 距離)’라는 개념은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파크가 1924년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다. 그는 사회적 거리를 ‘사회적, 개인적 관계를 특징짓는 친밀도와 이해의 정도를 측정 가능하게 만든 용어’ 라고 하였다. ‘거리’의 개념을 친밀감이나 적대감이라는 인간감정에 도입해 친밀감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더 나아가 그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계급, 인종, 성별 등의 다른 집단 간의 친밀성을 사회적 거리로 분석하기도 하였다. 결국 로버트 파크가 말하는 사회적 거리는 현재 언급되고 있는 물리적인 거리보다는 ‘심리적 거리’와 더 가까운 용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심리적 거리’는 무엇인가? 인간의 자아는 각자 심리적인 경계선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경계선 안쪽으로 과도하게 가까워지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낀다. 외부의 간섭 없이 자신만의 심리적 공간이 유지될 때 독립적인 자아가 유지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비로소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다른 문화권에 비해 공동체적 문화가 형성되어 있어 개인 간 심리적 거리가 매우 가까운 편이다. 개인만의 공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아경계선이 불분명해지기 쉽고, 삶의 여러 부분에서 타인과 지나치게 서로 얽혀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것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는데, 타인의 삶에 대한 지나친 개입과 평가로 인해 각 개인의 독립적인 가치관 및 자아개념이 형성되기 힘들다는 것도 그중 하나일 것이다. 정신분석학자 김혜남의 ‘당신과 나 사이’라는 책에 의하면, 사람 간의 물리적 거리를 통해서도 심리적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가족과 연인 사이는 20㎝, 친구 사이는 46㎝, 회사 동료들 사이는 1.2m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고 한다. 그는 이러한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각자의 독립적인 심리적 공간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심리적 거리두기’ 또한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정신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모두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때 사람들과의 만남 대신 각자의 시간을 가지면서 ‘심리적 거리두기’도 함께 실천해보는 것은 어떨까? ‘심리적 거리두기’를 통해 각 개인은 성숙한 성인으로서 심리적 경계를 명확히 할 수 있고, 타인과의 적당한 거리를 두면서 서로가 서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 사회는 더 성숙한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더불어 ‘심리적 거리’에 대한 중요성 또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