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증환자 급증…“체육관 등 이용 검토를”
생활치료센터 가동 들어갔지만
확보 가능한 병상 턱없이 부족
경증 20·30대 지자체 수용관리
중증환자는 서울 분산정책 필요
서울대병원 인재원 100실 등
외부 격리시설 운영모델 ‘주목’
3일 오전 경북 경산시 하양읍 국군대구병원 정문에 공사 및 자재를 실은 차량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대구·경북지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늘어나며 국군대구병원은 국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다. 국군대구병원은 현재 운용 중인 98병상을 303개로 늘리는 공사를 진행 중이며 오는 5일부터 확진자를 받을 계획이다. [연합]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병상이 없어 자택에서 결과를 기다리다 사망하는 중증 확진자들이 속출하면서 비교적 경증의 환자들을 치료하고 관리하는 ‘생활치료센터’가 도입된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급증하는 확진자 수용을 위해서는 체육관 등을 이용해서라도 센터를 서둘러 대폭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어떻게 운영되나= 대구에선 처음으로 대구시 중앙교육연수원을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80%에 달하는 경증환자들의 치료와 관리를 전담하는 ‘생활치료센터’로 지정했다. 입원할 필요는 없지만 감염 우려 때문에 격리가 필요한 환자들 대상이다. 현재 병실이 없어 자택에서 머물고 있는 증세가 가벼운 환자들부터 입소하게 된다.

그동안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80%는 상태가 위중하지 않은 ‘경증 환자’였지만 일괄적으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와 병상부족 문제가 최대의 현안으로 떠올랐고 확진자가 급증한 대구에서는 입원도 못 하고 집에 격리돼 있다가 사망하는 일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자택 대기 사망자가 계속 나오자 정부는 경증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중증환자는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체계를 개편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중앙교육연수원 기숙사 객실은 160개이고, 다른 건물까지 포함해 200개 안팎을 수용시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1인 1실이 원칙이지만 상황에 따라 방 하나에 여러 명이 머물 수도 있고 수용 가능한 인원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203실을 갖춘 경북 영덕의 삼성인력개발원 등에 생활치료센터를 계속 늘려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생활치료센터내의 의료 관리는 경북대병원이 맡는다. 내과와 가정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등이 24시간 상주하면서 모니터링과 치료를 병행하고, 심리지원과 생활지원도 이뤄진다. 퇴원 기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발열이나 호흡곤란 등 증상이 좋아지면 일단 퇴원시키고, 최초 증상이 나타난 뒤 21일이 지날 때까지 자택 등에서 격리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확진자 속도 못따라가는 병상 확보…체육관 등 이용도 검토해야=대구시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대구에서 확진 판정을 받고도 자택에서 입원을 기다리는 환자만 2000명이 넘는다.

병상과 수용시설 부족 상황이 나날이 악화하고 있어, 연수원 등 몇몇 시설을 생활치료센터로 전환한다고 해도 병상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감염내과 전문가들은 “생활치료센터 같은 시설격리가 자택격리보다는 응급상황 대처가 가능하고 가족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위험이 낮다”며 “다만 100∼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단계적으로 확충하는 현재 속도로는 자택에서 대기 중 사망하는 사례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시설 격리를 미리 준비해야 했는데 늦어지다 보니 확진자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 같은 공간을 활용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고 대부분의 입소자들이 20~30대의 경증환자 대상이기 때문에 자기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체육관 등에서 관리하는 게 무리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입원 대기 중 사망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 중증도 분류와 병상 배정에 속도를 높이는 방법밖에 없다”고 조언했다.

국립대학교병원협의회도 지난달 29일 충북 C&V센터에서 10개 국립대 병원장들이 모인 가운데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환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환자를 해당 자체단체 소재의 의료기관에서만 치료할 단계를 넘었다”라며 “지금은 국가적인 재난 상황으로 지역 구분을 넘어 전국적으로 의료시설을 공유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협의회는 “경증환자의 경우 지방 의료원과 중소병원에서도 치료하고 위급한 중증환자는 서울로 보내는 분산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했다.

서울대병원도 경증·무증상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 밖 격리시설에서 치료하는 새로운 관리 모델을 4일부터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경북 문경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수원 ‘서울대병원 인재원’ 100실을 환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조비룡 공공진료센터장은 “격리시설에는 의료적 지원 외에 식사 및 생활용품 등 다양한 물품이 필요해 기업 및 단체의 관심을 바란다”라며 “자치단체의 행정, 경찰, 소방 등 다양한 지원이 있어야 원활하게 운영될 것”이라며 지원을 요청했다. 아울러 “서울대병원이 계획하고 있는 격리시설 운영이 성공적인 모델로 판명나면 다른 국립대병원과 각 기관 등이 보유한 시설들도 뒤 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열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