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가뭄끝 단비같은 현대차의 무파업 임단협 잠정합의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파업없이 무분규로 마련했다는 소식은 가뭄끝 단비같은 청량감을 준다. 현대차에서 파업이 없었던 것은 지난 2011년이후 무려 8년만이다.

현대차의 파업은 통과의례와도 같았다. 최근 3년간 임단협 때마다 평균 17일 파업에 8만대가 넘는 생산차질을 빚어왔다. 그래서 올해 무파업으로 넘기면 시가총액 대비 1.2∼2.0% 수준의 영업이익 개선이 가능하다는게 KB증권의 분석이다. 금액으로 치면 4000억원~6000억원에 달한다.

물론 돈보다 중요한 것은 무분규로 합의에 이른 타협의 정신이다. 과도한 분배욕구를 자제하고 회사의 경쟁력과 고용창출에 앞장서는 사회적 책무를 중요시한 노조 측의 유연한 태도에 박수를 보낸다.

실제로 이번 잠정합의안을 더욱 빚나게 만드는 것은 몇년간을 끌어 온 문제점들을 대거 해결했다는 점이다. 현대차 노사가 최근의 한·일 경제 갈등과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에 따른 위기를 인식하고 합심으로 돌파해나가자는 공감대가 형성됐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7년을 끌어온 임금체계 개편 문제가 마무리됐다. 현재 두 달에 한 번씩 지급되는 상여금(기본급의 600%)을 앞으로는 매월 나눠서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대신 조합원들에게 근속 기간별로 격려금(200만~600만원+우리사주 15주)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이로써 노조가 2013년 제기한 통상임금 소송과 올해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으로 불거진 최저임금 위반 문제도 말끔히 정리될 전망이다. 산업계 전체의 상여금 중심체계 변화에 일대 분수령이 될 것이 분명하다. 그만큼 상징성이 크다.

사내 하도급 근로자 특별고용 일정을 1년 앞당겨 2020년까지 마무리하고 ‘정년퇴직자 자녀 우선채용’ 조항은 단협에서 삭제키로 한 것도 큰 진전이다. 고기능·장기간의 기술 노하우가 요구되는 기술직무에 ‘고기능 직무 교육과정’을 신설해 기술 경쟁력을 제고키로 한 것도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방식 변화에 대비하는데 꼭 필요한 조치다. 부품 협력사들에 힘을 보태자는 의미의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산업 발전 노사 공동 선언문’도 빠지지 않았다.

물론 잠정합의안으로 모든게 끝난 것은 아니다. 조합원 투표를 통해 확정하는 일이 남아있다. 잠정합의안이 투표를 통해 부결되는 일이 생겨나서는 안된다.

조선업계를 비롯해 공항노동자, 보건의료노조 등 지금 전국 곳곳 사업장이 파업에 몸살을 앓고 있다. 현대차의 진화된 임단협 사례가 주변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