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자율주행 기술, 범부처 협력이 성패 좌우

산업부와 과기부가 22일 함께 개최한 ‘자율주행 패스트 트랙(Fast-Track) 사업 기술협의체 출범’ 행사는 의미가 작지 않다. 기술과 법규에 연계범위가 넓어 유관부처간 협력과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나온 부처간 긍정적 협력사례이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171억원을 투입해 자율주행차의 인공지능(AI) 기반 컴퓨팅 기술 등의 실증과 국내외 표준을 만들고 과기정통부는 118억원을 들여 어떤 환경에서도 안정적 주행과 기능 검증 솔루션과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게 된다. 두 부처는 이 기술에대한 연구개발(R&D)을 오는 2021년까지 진행해 서로 연계시킨다는 것이다. 효율성이 높아질 것임은 물론이다.

두 부처간 협력 사례가 긍정적인 반향으로만 끝나서는 안된다. 이같은 분위기는 범부처 차원으로 확산되어야한다. 그래야만 선진국과의 자율주행 기술격차를 하루속히 따라잡을 수 있다.

지난 4월 우여곡절 끝에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자율주행차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등 진전이 없지 않지만 우리의 자율주행차 준비 상황은 밝지 않다. ‘KPMG 인터내셔널’이 발간한 ‘2019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 보고서에서 한국은 기반시설과 기술·혁신은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정책 및 제도부문과 소비자 수용성은 떨어져 25개 평가 대상 국가 가운데 13위에 그쳤다. 2018년보다 준비수준이 오히려 세계단이나 떨어진 것이다.

자율주행 관련 기술의 연계 범위는 넓다. 해야 할 일도 많다. 범부처 차원의 사업이란 얘기다.

자율주행에 필요한 3차원 전자 정밀도로지도, 스마트도로(C-ITS) 인프라가 전국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특히 자율주행기술은 카메라·레이더·라이다 등 센서만으로 혼자 운행하는 수준을 넘어 주변 차량과 인프라의 영상·센서 정보를 연계해 주행하는 ‘자율협력주행’으로 진화하고 있다. 실시간 통신으로 주변 교통·상황정보를 공유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해야만 운전자가 필요없는 완전자율주행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안 기술도 필수적이다. 자율주행차 자체의 보안은 물론이고 교통상황과 차량의 위치 등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정보에대한 보안 기술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해킹에의한 신호교란과 사고,운전자 사생활침해 등 걷잡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은 세계 5위 자동차 생산대국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ICT기술도 있다. 자율주행 강국이 될 역량은 충분하다. 문제는 효율성이다. 범부처 차원의 협력에 성패가 달려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