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조영태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센터장] 생활 속 스마트시티 리빙랩
2017년 중반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해 언급했을 때만 해도 다소 생소했던 ‘스마트시티’가 채 2년도 되지 않아 중앙정부 및 일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스마트시티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듯 하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주장하는 사람마다 그리고 입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고 있으므로 정확히 이해한다는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관련 법을 가지고 있으니, 법제도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마트시티의 법적인 용어는 ‘스마트도시’다. 2008년에 제정되고, 2017년에 전면 개정된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하고 있다. 이마저 보통의 법률 용어가 그렇듯이 일반 시민은 이해하기 쉽지 않은 듯 하다.

스마트시티를 인공지능(AI), 드론, 자율주행자동차, 로봇, 가상현실 등의 첨단기술로만 설명하자니 일반 시민들에게는 먼 미래의 일이다. 시민에게는 첨단기술로 설명되는 스마트시티는 현실감 없는 그리고 나와는 관계없는 혹은 오히려 피하고 싶은 미래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스마트시티는 시민의 일상생활에 적용가능해야 하고, 그 변화는 시민의 삶 속에서 천천히 나타날 것이다. 그래서 스마트시티 변화를 급진적 혁명이 아니라 점진적 진화로 표현한다.

스마트시티에서 만들어지는 도시서비스는 행정, 안전, 교통, 환경, 에너지, 복지 등 도시생활 전반이다. 저비용ㆍ고효율의 스마트 기술을 통해 도시생활을 변화시키는 것이 스마트시티라 할 수 있다. 도시서비스의 최종 사용자는 시민이며, 그 적용은 생활공간인 도시에서 이루어진다.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리빙랩’(Living Lab)은 실제 생활현장(real-life setting)에서 사용자와 생산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실험실이라는 의미이다. 가상 공간 그리고 인공 환경에서의 실험은 실제와 다르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스마트시티 리빙랩’은 도시공간이 스마트시티가 실험되는 현장(플랫폼)이 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 사용자(시민)와 생산가(기업)가 스마트시티 개발 및 운영의 주체로서 참여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도시에서 서비스 사용자인 시민과 기업이 도시생활서비스를 기획하고 ‘공동 창조’(co-creation)하는 방식이다. 원래 IT(정보통신)분야에서 출발했던 리빙랩 개념이 도시생활 전반의 스마트시티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에는 필요에 따라 시험의 객체로서 취급되던 사용자(시민)가 시나리오와 혁신적인 개념을 통해 공동 창조와 아이디어 탐색에 기여하는 가치 창조자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속의 점진적 변화로 나타나게 되며, 그러한 미래도시를 스마트 시민(smart citizen)이 만들어 갈 것이다.

조영태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센터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