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또 건설 구하기 나선 두산그룹…이번이 마지막(?)
4000억원 유상증자 시급
관련계열사 신용등급 비상
8년간 지원액 1.7조 육박



두산건설이 대규모 적자를 메우기 위한 유상증자에 나서면서 두산그룹 전반의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룹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증자 후에도 두산건설의 경영정상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룹 전체에 재무부담만 키울 수 있어서다.

두산건설은 지난해(연결기준) 영업적자 522억원, 당기순손실 551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진행사업의 원가조정과 경기 일산 제니스 미수채권 등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 탓이다. 2017년 말 194.7%였던 이 회사의 부채비율(연결 기준)은 지난해 말 2배 이상 오른 552.5%를 기록했다.

두산건설이 추진 중인 유상증자는 모두 4000억원 규모다. 최대주주(지분율 73.38%)인 두산중공업은 지분율만큼 두산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해도 2800억원 내외 자금이 필요하다. 일반공모시 일반주주들의 호응이 높을지도 미지수다. 자칫 두산중공업이 실권주를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두산중공업은 4049억원 규모(2018년 3분기말 별도기준)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 회사 역시 올 갚아야 할 회사채가 2900억원 수준이다.

최상위 지배기업인 (주)두산의 자금 사정도 여의치 않다. 이 곳도 올해 상환이 도래하는 회사채만 3000억원 규모다. (주)두산 역시 지난해 3분기말(별도기준) 현금 수준 역시 908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14일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일제히 두산중공업, 두산건설의 신용등급을 ‘하향 검토대상’에 등재했다.

두산건설에 자금이 지원되도 빠른 속도로 소진될 가능성이 크다. 영업현금흐름이 플러스로 개선되지 않으면 또다시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두산건설은 내달 1446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만기(조기상환 청구 기준)가 도래한다. 11월에도 700억원 규모 BW 상환 부담이 있다. 3개월 미만으로 재발행되는 공사채권 유동화 채무도 4277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지난해 9월말 별도 기준으로 두산건설의 현금은 1297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한편 두산그룹은 두산건설 지원을 위해 2010년 두산메카텍과의 합병, 2011년, 2013년 총 6900억원 유상증자와 두산중공업 HRSG사업부 현물출자(5719억원), 상환전환우선주 발행(4000억원) 등을 단행했다. 2011년이후 건설에 대한 그룹의 지원 규모는 1조6600억원을 웃돈다.

김지헌 기자/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