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 온다던 김정은, 내년초에 오나
[사진=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지난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약속했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연내보다는 내년 초로 추진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연내 답방을 상정하고 준비 절차를 밟던 청와대의 내부 기류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10일 노컷뉴스에 따르면, 청와대는 9일 오후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 답방과 관련해 현재로선 확정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김의겸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여러가지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우리로선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갖고 있지 않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 평양공동선언에 대한 두 정상의 이행 의지는 분명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의 설명은 현안점검회의 이후 오후 4시26분 쯤 기자단에게 보낸 문자를 통해 이뤄졌다. 특히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갖고 있지 않다”는 대목은 연내 답방 가능성이 열려있다던 기존 청와대의 메시지와는 다소 결이 다른 것이다. 무리하게 추진하진 않겠다는 뜻으로, 답방 임박설에 거리를 둔 모양새다.

또 오전까지만 해도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전날과 마찬가지로 “북측으로부터 연락이 온 것은 없다”고 했지만, 김 대변인의 오후 설명은 “확정된 사실이 없다”는 말로 미묘하게 변화했다.

북측은 이날 연내 서울 답방에 대한 확답보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전달해 온 것으로 보인다. 정부 측에서도 답방 문제를 놓고 북측과 계속 협의 중이라는 점은 공개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답방 관련 어떤 메시지도 전달받지 못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와 관련한 청와대 내부의 설명도 현재로선 명확하진 않다.

북측의 확답이 미뤄지는 배경으론 ‘의제’와 ‘빠듯한 일정’이 꼽힌다. 북미 대화 교착 상황 속에서 최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선 대북 제재 완화 문제와 관련된 미국의 변화된 메시지는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제재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필요성에 공감했다곤 하지만, 북한으로선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표면적 상황변화는 미미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