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노인 86% “내 집에 살고 싶다”…연금형 매입임대 성공할까
KB ‘통계로 보는 고령화 시장 트렌드’
60세 이상 4명 중 3명 ‘자녀 동거 싫다’
“자기 집 거주자에 복지서비스 집중을”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60세 이상 고령층의 86%가 ‘내 집에 살고 싶다’는 의지가 강한 걸로 나타났다. 나이가 늘수록 양로ㆍ요양시설 선호도는 증가했다. 주택을 활용해 노후생활비를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연금형 매입임대 방안이 성공할지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최근 공개한 ’통계로 보는 고령화 시장 트렌드‘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자녀와의 동거 의향’은 2015년 기준 75.1%이었다. 약 10년 전엔 60% 가량의 고령층이 자녀와 같이 살겠다고 응답했지만, 이 비중은 꾸준히 느는 추세다. 양로ㆍ요양시설 거주 의향은 60~64세가 11.3%였지만, 80세 이상은 18.0%로 높아졌다.

[사진=123RF]
[자료=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내 집에 살고 싶다’는 욕구는 임대주택으로 거주지 이동이 아니라 주거공간 개선과 지역 내 의료ㆍ편의시설을 확보하는 등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의미한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충격ㆍ낙상 등 사고로 65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많이 다치는 장소가 가정(4089건ㆍ61.5%)이었다.

보고서는 “노후에는 은퇴로 인해 가정과 여가생활의 비중이 커지면서 주택 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신체적 기능이 떨어져 주택 내 사고 위험도 커진다”면서 “주택의 기능을 보완하면 자립적인 생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령층의 수요를 고려하면 ‘주거복지 로드맵’에 담긴 연금형 매입임대의 성공 여부는 미지수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고령자는 해당하지 않고, 가입 대상이 1주택자에 집중돼 있어서다. 3억원짜리 단독주택을 보유한 고령자가 집을 팔면 받을 수 있는 연금은 매달 147만원 정도로,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면 임대료 부담은 계속된다. 또 고령층의 선호도가 높은 종신형이 아닌 만기 지급형이 우선이다.

‘보여주기식 제도’보다 고령층에 특화된 서비스가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작년 기준 ‘내 집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에서 식사배달ㆍ청소 등 일상생활 지원이 중요서비스 1위를 차지했다.

KB연구소 관계자는 “생활 공동체 지원은 개별적인 차원이 아닌 통합적인 형태로 제공돼야 한다”며 “향후 국가적인 복지 차원에서 내 집에서 나이 들어가고 싶은 시니어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