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CEO 칼럼-여인홍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지속가능한 농업과 정보화
지난 11월 11일, 흔히 빼빼로데이로 알고 있지만 이 날은 ‘제22회 농업인의 날’이기도 했다. 흙을 상징하는 ‘토(土)’를 열십자(十)와 한일(一)자로 풀어 매년 11월 11일을 土월土일로 기념하고 있다. 농민들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 날 행사에서 우리 농업이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빈곤화’, ‘고령화’, ‘식품안전’, ‘정보화’, ‘세계화’를 제시했다. 농산물 생산기반과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혁신기술 도입과 수출농업을 더 육성해 농업이 설자리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우리 농업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계가 이러한 비전들을 공유하고 힘을 합쳐야 한다.

단기간에 풀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수입농산물 유입이 계속되고 소비자 주권 향상, 4차 산업혁명 등 농업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쉽지 않다. 정보통신망이 고도화된 초연결 시대에는 수요가 공급을 더욱 주도할 전망이다. 국산 농산물이 소비자의 신뢰와 선택을 받지 못하면 농업이 지속되기 어렵다.

창립 50주년을 맞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향후 사업 방향에 대한 나침반을 마련했다. ‘국내 농업의 기반 강화’를 위해 각 사업들이 재설계될 것이다. 우리 농업 기반이 강해지려면 국산 농산물의 비중과 위상을 높여야 한다. 먹거리 수급부터 식품기업의 원료 농산물까지 국산 위주로 개선하는 것이다.

농산물 유통 정보의 고도화로 그동안 지적돼온 고비용 저효율 유통구조를 혁신하고 국산 중심의 거래 환경 조성을 앞당길 수 있다. 첫째로 정보의 ‘개방’을 통해서다. 생산, 유통, 최종 소비 단계에 이르는 빅데이터를 구축해 누구나 활용케 하면 전국의 유통 상황을 생산자와 소비자가 공유하고 모니터링하면서 공급·구매 계획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농산물을 인근 지역에서 곧바로 조달할 수 있는 정보 인프라가 갖춰지는 셈이다. 일시적인 수급불균형을 최소화하고 유통효율을 높여 농산물 가격급등락으로 인한 농민의 소득불안과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정보가 지역별, 품목별 수요 예측 수준에 이르면, 과잉·과소 생산을 예방하고 작목 전환 부담이 줄어 농지의 탄력적 운용이 가능해진다. 자급률이 낮은 품목이나 값싼 수입산 자리를 국산으로 채워나갈 여력이 생긴다.

그 다음은 ‘연계’와 ‘물류스마트화’다. 산지유통센터(APC)나 도매시장 등 유통시설의 거래 데이터를 4차 산업혁명에 맞게 정보화하고, 사물인터넷(IoT)기술을 접목해 자동화함으로써 정보 기반의 물류효율화가 가능하다. 소비지의 수요가 산지에 늦게 반영되던 문제가 실시간 소비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진화한다. 수요맞춤형 품목 발굴과 신속한 공급으로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실수요자와 공급 주체 간 직접 매칭도 수월해져 농가와 식품외식기업 간 식재료 직거래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온라인ㆍ모바일 거래나 로컬푸드직매장 등 다양한 신유통 경로들이 더해져 실수요에 맞게 중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통채널을 선택 공급함으로써 농민이 제 값 받는 거래 풍토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유통여수(流通如水)’라는 말이 있다. 유통이란 곧 물 흐르듯 자연스러워야 하며 막힘이 없어야 한다. 우리 농산물의 새 물길을 정보가 터줄 것이다. 아직 농업 정보 분야에 기술도입과 발전이 미흡하다는 의견도 있다. 초기 단계지만 aT는 생산, 유통, 소비, 수출까지 정보를 망라하는 농산물유통 종합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 기관과 농가 등 이해관계자 간 공감대 속에 4차 산업혁명에 걸맞는 농업 정보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